“한기총 정관, 원래대로 돌리면 통합 고려”… 한교연, 임역원 워크숍서 결의
입력 2014-03-19 03:27
한국교회연합(한교연·대표회장 한영훈 목사)이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대표회장 홍재철 목사)와 통합을 위한 기본 조건을 제시했다. 그러나 한기총이 ‘선통합 후논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수용 가능성은 높지 않은 명분 쌓기용이란 분석도 있다.
한교연은 17∼18일 강원도 속초 현대수콘도에서 임역원 워크숍을 개최하고 ‘한기총이 2011년 7월 임시총회 당시의 회원 구조와 정관으로 돌아간다면 통합 추진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영훈 대표회장은 “한기총이 2011년 7월 7일 임시총회 당시의 66개 교단, 19개 단체를 회복하고 7·7 정관을 수용한다면 한기총과 한교연 통합을 위한 추진위원회를 구성한다는 것이 한교연 임원회의 공식 결의”라고 설명했다. 당시 한기총에는 한국교회에서 이단으로 지목한 세력이 들어오지 않은 상태였으며, 정관에는 대표회장 후보가 되려면 교단추천을 받아야 한다는 조항이 들어있었다.
한 대표회장은 “공교회가 이단성이 있다고 규정한 세력이 한기총에 있는 한 하나 되기는 어렵다”면서 “한기총이 연합정신을 회복하기 위해선 대표회장 후보자가 반드시 교단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교회가 하나 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며 한교연의 간절한 바람”이라면서 “그러나 한국교회 대다수가 바라는 2011년 7월 당시의 상태로 되돌려야 한다는 조건을 한기총이 수용하지 못한다면 대화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배인관 한기총 사무총장은 이에 대해 “한기총의 기본 입장은 ‘선 통합 후 논의’”라며 “각론을 이야기하면 통합이 어려워지므로 일단 통합을 선언하고 들어와 여러 문제를 다시 논의하면 된다”고 말했다.
한교연은 이번 워크숍에서 반기독교 세력과 이단의 공세를 막아내기 위해서는 교회 내 민·형사 소송 발생시 최우선적 효력을 지니는 정관을 정비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으고 교회보호를 위한 정관을 마련, 제시하기로 했다. 건국절 제정운동, 찬송가 문제 해결 등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한교연은 이들 문제를 본격 논의하기 위해 조만간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날 워크숍에는 김동엽(예장 통합) 조일래(기성) 최순영(예장 대신) 총회장 등 34개 교단 100여명이 참석했으며, 종교인 과세와 이단문제, 다종교 사회 속 기독교의 역할 등에서도 의견을 나눴다.
속초=글·사진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