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생활수급비 절반을 임대료로 쓴다” 광주 컨테이너시설 장애인 지원책 촉구
입력 2014-03-18 02:52
광주 송하동 미인가 컨테이너시설에서 장기간 생활해온 장애인 등이 주거 공간 이전 및 지원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와 30여명의 장애인들은 17일 오후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좁고 낡은 컨테이너에서 생활하는 장애인 등의 자활계획을 세워 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광주가 진정한 인권도시라면 장애인과 노숙자들에게 최소한의 인간다운 주거공간을 보장해야 한다”며 “수입의 전부나 다름없는 기초생활수급비의 절반을 컨테이너 임대료 명목으로 매달 지출하는 형편”이라고 밝혔다.
장애인과 노숙인, 교도소 출소자 등 20여명은 10여년 전부터 냉난방이 제대로 되지 않는 송하동의 한 컨테이너에서 공동생활을 해 오고 있다. 송하동 컨테이너에 주소를 둔 장애인 등은 현재 26명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12명은 정신병원에 입원 중이다.
하지만 인가시설이 아니라는 이유로 광주시와 남구 등 지자체의 지원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곳에서는 2006년 11월 한 원생의 방화로 4명이 숨지는 등 안전사고도 잇따르고 있다.
박찬동 광주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장은 “컨테이너에서 힘겹게 사는 장애인 등이 스스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