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유엔 지정 인권도시’ 추진 난항
입력 2014-03-18 02:52
광주시의 ‘유엔지정 인권도시’ 추진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광주시는 “2010년 7월 민선 5기 출범 이후 민주·인권·평화의 도시인 광주를 세계적 인권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펴왔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인권담당관실을 신설하고 ‘광주 인권헌장’ 선포 등을 통해 유엔지정 인권도시가 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1980년대 국내 민주주의 정착 과정에서 5·18 민주화운동을 통해 결정적 기여를 한데다 그동안 소외계층의 인권보장에 앞장서온 만큼 광주를 유엔이 인정한 인권도시로 만들어 세계인들이 찾는 관광명소로 개발한다는 것이다.
시는 특정도시가 각 분야에서 독특한 자원을 보유하고 독보적 기능을 수행할 경우 범세계적 국제기구인 유엔 측이 ‘유엔에서 인정해 주는 도시’ 칭호를 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가 민선 5기 대표적 공약으로 내세운 유엔지정 인권도시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시는 2010년 11월과 2012년 3월 한국을 방문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에게 ‘유엔지정 인권도시’를 연거푸 건의했으나 아직 뚜렷한 답변을 듣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울산 동구청도 2011년 말 인권조례를 제정하고 인권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2016년까지 유엔지정 인권도시가 되겠다며 가세한 상황이다.
이경률 광주시 인권담당관은 “지난해 9월 개최된 제24차 유엔인권이사회에서 ‘지방정부와 인권’이라는 결의가 처음 채택됐다”며 “오는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다수의 유엔인권이사회 자문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인권도시포럼이 광주에서 열리면 지정 절차가 가시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