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간 표심 대결 이번에도 나타날까… ‘5060’ 보수 유권자 늘었지만 변수도 많아 예측 불허
입력 2014-03-18 03:14
'세대 간 전쟁'이라고까지 불린 2012년 대선 당시의 세대 간 대결 구도가 이번 6·4지방선거에서는 어떻게 나타날까. 일단 고령화된 인구구조나 낮은 투표율 등을 고려하면 5060세대를 기반으로 한 보수 진영이 유리해 보인다. 하지만 2030세대의 절대적 지지에 중도 보수층 일부도 끌어안고 있는 무소속 안철수 의원을 중심으로 한 통합신당 등 변수가 있어 쉽게 유불리를 예단할 수 없다는 분석이 많다.
◇5060 비중 증가 등 유권자 구성에서 보수 유리=안전행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지방선거 유권자 잠정 집계치에 따르면 전체 유권자 수 대비 50대 비중이 19.5%로 2012년 대선 당시 19.2%보다 0.3% 포인트 늘 것으로 전망됐다. 60대 이상도 20.8%에서 21.2%로 늘어 전체 유권자 가운데 50대 이상 비율은 40.7%가 된다. 이는 2012년 대선 당시 40%였던 것에 비해 0.7% 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보수의 텃밭이라 할 5060 유권자 자체가 많아지는 셈이다.
지방선거는 젊은층 투표율도 낮은 경향을 보인다. 17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10년 지방선거의 전체 투표율은 54.5%인 반면 20대 전반 45.8%, 20대 후반 37.1%에 그쳤다. 50대(64.1%), 60세 이상(69.3%)과 격차가 컸다. 2010년은 그나마 무상급식 이슈로 젊은층의 투표 열기가 예외적으로 높았던 경우고, 2006년 지방선거는 젊은층의 투표 참여가 더 낮았다.
반면 50대와 60세 이상은 투표율이 60%대 후반∼70%대 초반을 유지했다. 20, 30대는 대선 등 관심도가 높은 선거와 지방선거 간의 투표율 격차가 큰 반면 50대 이상은 대부분 선거에서 70% 내외의 투표율을 유지한다는 것이 선관위의 분석이다. 여야가 최근 기초연금과 관련해 ‘효도 정당 VS 불효 정당’ 공세를 주고받는 것도 중장년층을 공략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지난 대선처럼 50대 이상 유권자들이 결집할 경우 새누리당에 유리하다는 게 일반적 전망이다. 대선 당시 50대 투표율은 82.0%, 60대 투표율은 80.9%에 이르렀다.
윤희웅 정치컨설팅 ‘민’ 여론분석센터장은 “유권자 중 고령층의 비중이 계속 증가하는 데다 이들의 투표 적극성이 높기 때문에 단순히 전체 투표율만 높인다고 야권에 유리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2030 투표 바람 불고 5060 결집 무너지면 야권 유리=총·대선에서 연패한 야권은 ‘안철수’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했다. 지지율이 다소 하락하긴 했지만 2030 유권자에게 높은 지지를 받는 ‘안철수 효과’는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안 의원은 그동안 투표 독려 편지(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앵그리 버드’ 동영상(2012년 총선), ‘소리통 유세’(2012년 대선) 등 기발한 방식으로 2030세대를 투표장으로 이끌어냈다. 지방선거에서 ‘새 정치’를 앞세운 안 의원이 야권 선봉에 서면 ‘2030 총결집’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안 의원은 지난해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에서 60%를 넘는 지지율을 얻는 등 중도 보수층에 대한 ‘확장성’이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 또 보수 정당 우세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지방선거가 대선 때처럼 이념선거가 되긴 어렵다는 분석에서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보수층의 경우 대선이라는 국가 정체성과 이념에 관한 선거에선 투표 적극성이 높지만 지방선거에서는 투표 적극성이 떨어진다”며 “대선과 같은 5060세대의 결집이 나오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여권에서 ‘선거의 여왕’으로 불리던 박근혜 대통령과 같은 선거의 구심점을 찾기 어렵다는 점도 5060의 결집을 쉽게 예단할 수 없는 이유다.
50대 전체를 ‘보수층’으로 묶기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윤희웅 센터장은 “50대를 새누리당 고정 지지층으로 봐선 안 된다”며 “고학력층인 486세대가 50대 초반이 됐기 때문에 이들이 ‘스윙 보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전투표제도 변수다. 사전투표제는 선거 당일 투표가 불가능한 유권자가 별도 부재자 신고 없이 사전에 투표할 수 있는 제도로 전국적 시행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4·24재·보궐선거에서는 젊은층보다 40대 이상 중장년층이 사전투표제에 대한 호응이 컸던 것으로 조사됐지만 지방선거에서는 어떤 효과를 낼지 단언하기 어렵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