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목회자개혁연대 “돈선거 못막아… 감독 아닌 연회장 뽑아야”
입력 2014-03-18 02:31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의 감독 선거일정이 확정됐지만 내부 반발이 만만치 않다. 선거제도의 전면적 개혁 없이 선거를 강행하면 불법선거운동 문제로 교단 전체가 또다시 몸살을 앓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전국감리교목회자개혁연대(전감목·상임대표 김고광 목사) 집행위원장 김영민 목사는 17일 “부와 명예를 잡기 위해 감독 자리에 오르려고 탐욕을 부리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감독직과 선거 방식의 패러다임을 바꾸지 않으면 이를 바로잡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전감목은 지난 9일 ‘감독 선거를 반대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하고 금품 살포 등으로 혼탁해진 감독 선거 제도를 완전히 바꿀 것을 주장했다. 현재의 선거 풍토와 선거법 아래에서는 돈 선거와 선거 이후의 고소·고발전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이다.
전감목은 성명에서 “그동안 감리교회에서 뜨겁게 문제 됐던 부분들을 무시하고 실시되는 감독선거는 감리교회에 또 다른 불행한 사태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어 “관행적으로 행해 온 것이 죄악으로 드러난 마당에 반성은 하지 않고 또다시 그 행위를 반복한다면 얼마나 어리석은 공동체로 보이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전감목은 감독이 아니라 ‘연회장’을 뽑는 선거로 바꿀 것을 제안했다. 이에 따르면 연회별로 후보 등록 과정 없이 목회 경력 등을 기준으로 후보를 정한 뒤 정책발표회, 선거운동 없이 3명을 선출한다. 최종적으로 이들 3명이 제비뽑기를 해 한 명의 연회장을 뽑는다.
전감목이 이같이 요구하는 이유는 최근 감독회장 및 감독 선거과정에서 불법선거운동 문제로 사회법정의 판단을 구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5년간의 내홍 끝에 지난해 7월 전용재 기감 감독회장이 선출됐으나 2개월 만에 유권자에게 금품을 줬다는 이유로 낙마, 서울고법에서 재판이 진행 중이다. 모 감독의 경우 금품 제공 의혹이 제기돼 감독지위부존재확인 소송이 서울중앙지법에 제기됐다가 합의된 사건도 있다.
기감의 한 목사는 “불법선거 문제는 하루 이틀 일이 아니어서 아예 감리회에선 선출직을 만들지 말자는 자조적인 말까지 나올 정도”라며 “진심으로 회개하고 반성하지 않는다면 돈 선거로 인한 혼란은 근절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