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軍 부대시설로 위안부 조직적 운영”

입력 2014-03-17 02:31

일본 정부가 위안부를 군대 부대시설로 운영한 사실을 담은 미군 문서가 공개됐다.

15일(현지시간)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의 미군 비밀해제 문서에 따르면 미군 동남아 번역·심문소가 1945년 4월 버마(미얀마)에서 체포된 일본군 포로를 심문하는 과정에서 일본군이 군대 위안부를 운영한 사실을 파악했다. 미군 당국은 포로를 상대로 ‘부대시설’의 하나로 위안부를 두고 있는지를 심문한 결과 만달레이주(州) 메이묘에 일부 위안부를 두고 있었다는 답변을 들었다. 당시 위안부의 화대가 3.5∼5엔이었으며 일본군 병사의 월급은 24엔이었다고 문서는 기록하고 있다.

또 다른 문서기록관리청 기밀해제 문서에 따르면 1945년 4월 25일 미군 정보원이 중국 여자 간호사를 인터뷰한 결과 일본 육군 군의관이 매주 금요일 중국 만주의 위안소를 방문해 ‘여성’(위안부)들을 상대로 정기 검진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이 위안소에는 1급으로 분류되는 일본 여성 20명, 2·3·4급으로 분류되는 한인 여성 130명 등 모두 150명이 있었으며 모두 성병에 걸려 있었다고 문서는 밝혔다.

두 문서는 위안부들이 일본군이 주재하는 지역에 대규모로 동원돼 ‘위안활동’을 했고, 일본 군의관들이 위안부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일본 관방장관은 1993년 담화를 통해 일본군이 위안소 설치와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했음과 모집 이송 관리가 감언과 강압 등에 의해 총체적으로 본인들의 의사에 반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최근 일본 내 우익 인사들은 위안부 존재 자체를 부정하면서 일본 정부에 ‘고노 담화’의 검증을 요구해 왔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