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사업 40년(상)] 民·軍 기술 칸막이 없애 시너지 효과 극대화
입력 2014-03-17 02:23
광통신 민간업체인 에이알텍(ARTec)은 올해 중국 전역에 설치될 광통신 사업의 시행자 중 한 업체로 선정됐다.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 100Gbps급 광통신 모듈을 개발해 수주에 성공한 것이다. 올해 23억원어치를 수주했지만 앞으로 10년간 약 5000억원의 매출이 기대된다.
이 회사가 중국 통신망 개설 사업을 따내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한 것은 군사용 레이더 개발 기술에 사용된 ‘초고주파 회로설계 기술’이었다. 이 회사 이성민(44) 대표는 “약 30%의 핵심적인 기술이 부족했는데 군에서 개발한 회로설계 기술을 활용해 해결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군용 기술이 민간으로 이전돼 고부가가치를 창출한 셈이다.
또 인터넷 보안업체 마루시스템은 군이 지휘통신 체계에 활용하는 우회네크워크 기술을 전수받은 결과 금융기관 등의 네트워크에 침투해 각종 정보를 빼내는 해커들의 시도를 차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었다. 캠핑이나 야외활동 시 활용되는 자가발전기는 군이 전시(戰時)에 전력이 끊길 경우에 대비해 개발한 자가발전 기술을 응용한 것이다.
이처럼 군용으로 개발된 기술이 민간으로 이전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방기술 61건이 민간으로 이전돼 1000억원 이상의 매출과 일자리 50개를 만들었다. 방사청은 1970∼2009년 국방기술의 민수 분야 파급으로 약 11조1200억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은 올해부터 민·군 기술협력 활성화를 통해 창조경제에 기여하고 방위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본격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세계적으로 우수한 우리 민간업체의 기술을 활용해 첨단 무기체계의 독자 개발 능력을 강화하고, 민간은 군이 보유한 특허기술을 이전받아 매출 확대와 일자리 창출 등 경제효과를 창출함으로써 상호 발전하는 기반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방사청은 지난 1월 민·군협력진흥원을 설치한 데 이어 5월에는 한국방위산업진흥회와 함께 민·군 기술협력 대제전을 개최해 민·군 기술협력 성과를 확산시키고 산업적 활용도를 높일 예정이다. 민·군 협력 연구·개발(R&D) 사업 규모도 2005년 70억원에서 2012년 409억원으로 5.8배 확대됐다.
방사청 기술분석담당관 이재율 서기관은 16일 “군 기술을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는 무궁무진하다”며 “민·군 간 기술 칸막이를 열어 시너지 효과를 최대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