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신 크리스천 무엇으로 사나] “진짜 바빴습니다… 동행할 자매님 기다리는 중”
입력 2014-03-15 02:24
독신 크리스천 무엇으로 사나
세 남성의 ‘은혜로운 고백’
‘화려한 싱글’ ‘외로운 독거’. 혼자 사는 1인 가구를 바라보는 일반적인 시선이다. 그러나 ‘크리스천 독신 라이프, 솔로의 영성’을 기획하며 만난 세 명의 ‘싱글 남성’은 둘 다 아니었다. 1+무한대의 삶. 평생을 ‘비교할 수 없는 단 한 분’ 예수 그리스도만 붙잡았더니 돈, 명예, 욕심은 다 사라지고 남은 건 감사와 기쁨, 사랑 나눔뿐.
20세기 복음주의를 이끈 영적 거장 존 스토트(1921∼2011) 목사는 독신이었다. 참된 제자도의 삶은 그가 평생에 걸쳐 강조한 주제였다. 생전 스토트 목사는 “가족을 책임져야 했다면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멀리 여행을 떠나거나 그토록 많은 글을 쓸 수 없었을 것”이라며 경건하게 살아온 독신의 삶을 전했다.
혼자 살려면 많은 것을 버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걸 아는지. 박종삼 목사는 생명을 함께 나눈 친구들을, 이용희 대표는 북한과 통일한국을 위해 기도하는 중보자들을, 이모세 수사는 스스로 감사하고 기뻐하는 자족의 삶을 받았다. 따라서 지금 우리가 독신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우리 모두는 하나님이 허락하신 각자의 상황을 하나님이 주신 특별한 은혜와 선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거룩한 나라, 북한구원 통일한국, 선교한국’을 위해 기도하는 초교파 기도운동 에스더기도운동 의 이용희(56) 대표. 그를 지칭하는 직함은 끝이 없다. 가천대 글로벌경제학과 교수, 바른교육교수연합 대표, 월간 지저스 아미 발행인, 국제교류협력기구 이사장 등. 직함만 봐도 눈코 뜰 새 없이 바쁠 듯한 이 대표는 독신이다. 그러나 한순간도 스스로 결혼을 안 하겠다고 결단한 적은 없다고 했다. 바삐 살다 보니 결혼에 마음을 많이 못 썼고 그러다 보니 어느새 시간이 훌쩍 지나가 버렸다는 것이다.
서울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에스더기도운동 본부에서 지난 12일 오전 이 대표를 만났다. 그는 부모님을 모시고 살다 9년 전 아버님, 3년 전 어머님이 돌아가신 이후 지금은 간사와 함께 살고 있다.
그는 독신으로 산다는 건 일장일단(一長一短)이 있다고 말했다. “아내나 자녀가 없어 매이는 게 없으니까 더 집중해서 소신대로 삶의 시간이나 재정, 마음을 한 곳에 올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제동을 걸어줄 사람이 없어 무리해도 브레이크 없이 막 나갈 수 있다는 거지요.”
생전의 어머니는 밤 12시가 넘어도 아들이 안 들어오면 전화를 해서 챙기셨다. 아들이 들어올 때까지 안 주무시는 어머니 생각에 귀가를 서두르기도 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어머니라는 보호막, 보호장치가 없어 문득문득 힘들기도 합니다. 또 자녀를 안 가져봤기 때문에 아무래도 마음이 부모 된 사람들과 다를 것 같기도 하고요. 그래서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좀 부족할 거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러나 이 대표는 ‘믿는 대로 거듭난, 그리스도의 제자 된 삶을 추구하는’ 자매가 나타난다면 이제라도 독신을 끝내겠다는 ‘열린 독신’이다.
독신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을 물었다. “의와 화평과 거룩을 추구하는 지체들이 같이 살 것을 권면합니다. 서로 격려와 축복을 하고 보살펴줄 수 있는 공동체 생활을 한다면 영적으로 무너지거나 성적으로 쓰러지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으니까요.”
최영경 기자 yk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