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화 서울대’ 초대 총장 각축전
입력 2014-03-14 03:48 수정 2014-03-14 17:25
‘국립대학법인’ 서울대의 초대 총장직을 놓고 14일 예비후보 등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된다. 정권마다 국무총리 후보군(群)에 오를 만큼 영향력이 큰 자리인 데다 올해부터 간선제로 바뀐 터라 10여명이 출마 의사를 피력하며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국민일보가 확인한 결과 13일 현재 강태진 전 공대학장,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박오수 전 경영대학장, 박종근 전 평의원회 의장, 성낙인 전 법대학장, 오세정 기초과학연구원장, 이우일 전 공대학장, 조동성 전 경영대학장, 조영달 전 사범대학장 등 9명이 출마 의사를 밝혔다(가나다순). 강대희 의대학장, 김명환 자연과학대학장, 정종섭 전 법대학장도 출마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후보들의 공약은 각양각색이다. 강태진 전 학장은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기초교육 강화’를 내세웠다. 강 전 학장은 “대학의 역할은 훌륭한 시민과 연구자를 키워내는 것”이라며 “인문학 등 기초 교양과정을 강화해 교수와 일대일 소통이 가능한 강의실을 만들고 국고와 발전기금 외에 제3의 재정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박종근 전 의장은 전문성을 강조했다. 그는 “최근 6년간 법인화위원회 등에서 법인화법 제정을 위한 실무를 담당하는 등 10년간 법인화 연구에 헌신했다”고 설명했다. 박 전 의장은 총장으로 선출되면 법인화법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2010년 선거에서 최종후보에 올랐던 오세정 원장은 “그동안 서울대가 학부 교육에 신경을 덜 쓴 측면이 있다”며 “연구중심대학이라지만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는 학생이 더 많은 점을 고려해 사회의 리더를 키우는 학교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중등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사회 공헌을 강화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이우일 전 학장은 ‘분권화’를 키워드로 꼽았다. 그는 “분권화가 이뤄지면 단과대학별 재정 운용 과정에 자율성이 보장돼 특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교수 윤리 문제만은 대학본부에서 직접 챙겨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불거진 성악과 파문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총장추천위원회(총추위)는 이날 총장 선출 세부 규정을 발표했다. 예비후보들의 소견 발표를 들은 뒤 상·중·하로 평가해 다음 달 3일 5명을 추린다. 이후 토론과 합동연설을 거쳐 정책평가를 실시한다. 정책평가단에는 전체 교수의 10% 정도인 222명과 직원 22명이 대의원으로 참여한다. 대의원 정책평가(40%)와 총추위 평가(60%)를 합해 다음 달 말 최종후보자 3명을 압축하고 이 중 1명을 이사회가 호선한다. 이렇게 후보가 정해지면 교육부 장관의 임명 건의를 받아 대통령이 최종 임명한다.
후보 마감일 하루 전에야 세칙이 발표되는 등 촉박한 일정에 후보 물망에 오른 교수들은 분주했다. 김도연 전 장관은 “지난 주말에 귀국해 이제 막 이력서에 사진을 붙였다”고 했고, 박오수 전 학장은 “시간이 없어 큰 줄기부터 잡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신경전도 치열하다. 한 교수는 “경쟁 교수를 만났는데 ‘적장끼리 만났다’며 서로 웃고 말았다”고 했다. 다른 교수는 “경쟁자가 많아 눈에 띄는 정책을 내놓으려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