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포통장 年 5만개… 우체국·새마을금고 몰려
입력 2014-03-13 02:34
금융사기에 연간 5만개가 넘는 대포통장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포통장 발급 비중은 우체국과 새마을금고에서 급증하고 있었다.
금융감독원은 2012년 3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대출 빙자 사기에 쓰여 지급 정지된 대포통장이 5만5000개(713억원)라고 12일 밝혔다. 금감원은 “피싱·대출사기에 이용되는 대포통장은 연간 약 5만개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대포통장이 가장 많이 발급되고 있는 금융사는 농협이었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농협은행과 농협 단위조합의 대포통장 발급 비중은 각각 20.8%, 40.3%에 달했다. 대포통장 10개 중 6개가 농협에서 발급된 셈이다.
최근 들어서는 우체국과 새마을금고의 통장 비중이 급증했다. 우체국은 2011년 9월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1.5%에 머물렀지만 지난해 하반기에는 14.9%로 뛰었다. 새마을금고는 같은 기간 2.4%에서 8.6%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우체국·새마을금고의 대포통장 비중이 늘어난 건 농협에 대한 금감원의 근절 지도가 강화된 때문이다. 이에 일반은행보다 통장 개설이 덜 까다롭고 지방에서도 접근이 쉬운 우체국과 새마을금고에 대포통장 개설이 몰렸다.
대포통장을 줄이기 위해 금감원은 계좌 개설 시 각 과정마다 의심이 생기는 유형을 마련해 금융사에 통보하기로 했다. 대포통장 의심고객의 계좌개설을 거절했을 때의 정보를 전 은행이 공유하는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포통장 발급 비중이 높은 금융사에 대해 2분기 중 정밀 실태점검에 나설 계획”이라며 “7월 29일부터 피해액 환급이 시행됨에 따라 환급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도 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진삼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