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치매노인 사회안전망 허술하다

입력 2014-03-12 15:33

[쿠키 사회] 제주지역에서 고령이나 치매로 인한 노인 실종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노인들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은 허술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제주지방경찰청은 제주에서 발생한 치매노인 실종 건수가 2011년 54건, 2012년 89건, 지난해 94건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올 들어서도 2월말 현재 26건이 발생했다. 지난해의 경우 나흘에 1명꼴로 실종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일에는 80대 치매 노인이 실종된 지 5일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노인 실종을 막기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지만 관리체계나 관심은 미흡한 상황이다. 실종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와 장비가 도입됐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유명무실해지면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제주지방경찰청은 2012년 7월부터 치매노인 실종에 대비해 지문과 사진, 신상정보 등을 등록해주는 사전등록제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에 등록된 치매노인 4208명 가운데 사전등록제에 참여한 인원은 15명에 불과하다. 도내 노인 7만9305명 가운데 치매노인은 7230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제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노인용 배회감지기 역시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 제주시는 지난해 7월부터 인식표 배부와 함께 배회감지기(GPS 위치추적기) 보급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임대방식과 25만원에 이르는 분실 배상금 등으로 이용을 기피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급 대상자인 장기요양 재가급여 이용자 1854명 중 9명만 신청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치매노인 관리를 사회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며 “하반기 추경 때 관련 예산을 확보해 재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위치추적기 무상보급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