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 대지진 3주년… 26만여명 아직도 피난 생활

입력 2014-03-12 01:35

11일 오후 2시46분 일본 도쿄 국립극장에서는 사이렌 소리와 함께 묵념이 시작됐다. 3년 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했던 바로 같은 시각. 아키히토 일왕 부부를 비롯해 아베 신조 총리와 중·참 양원 의장, 피해가 컸던 이와테·미야기·후쿠시마현의 유족 대표 등 약 1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도식이 열렸다. 일본 경찰 집계에 따르면 대지진에 의한 사망자(10일 현재)는 1만5884명, 실종자는 2633명에 이른다.

아키히토 일왕은 추도식에서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는 지금도 다양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면서 “오랜 시간 국민 모두가 합심해 다가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지진의 기억을 결코 잊지 않고 후손에게 전해 재난방지에 대한 마음가짐을 기르자”고 말했다.

정부 주최의 추도식 외에도 피해 지역을 포함한 일본 전역에서 각종 행사가 열렸다. 일본 언론들은 일본 정부가 설정한 5년의 ‘집중 부흥 기간’이 이미 중반을 지났지만 피해 복구와 부흥의 길은 더욱 험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아직까지 가설주택 등에서 피난 생활을 하고 있는 주민은 26만7419명에 이른다. 지진 당일 재난을 피할 수 있었지만 피난 생활은 여전히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교도통신은 피난 장기화로 간접적인 ‘지진 관련 사망자 수’가 지난해 말 현재 3048명까지 늘었다고 전했다. 한 관계자는 “가설주택 등에서 생활하는 고령자의 체력이 떨어지고 있어 앞으로도 지진 관련 사망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후쿠시마현의 경우 지난 7일 현재 지진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사망한 사람(1603명)보다 지진 관련 사망자(1671명)가 더 많았다.

일본인 70% 이상은 재해지역 부흥작업 속도에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NHK가 지난 7일부터 사흘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동일본 대지진 재해지역의 부흥이 진행되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별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56%,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는 응답이 16%였다. 원자력규제위원회의 안전 기준을 통과한 원전은 재가동하겠다는 아베 정부의 방침에 대해서는 반대(37%)가 찬성(21%)보다 많았다. 하지만 아베 총리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안전 기준을 통과한 원전은 재가동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