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與 ‘100% 여론조사’ 경선 룰 파열음 지속

입력 2014-03-11 02:32

새누리당이 제주도 등 특정 지역 광역단체장 후보를 ‘100% 여론조사’로 선출하는 문제를 놓고 내홍을 겪고 있다. ‘경선 룰’에 대한 잡음이 계속 나오자 공천관리위원장인 홍문종 사무총장은 “지방선거에 전략공천이나 100% 여론조사 방식의 공천은 없다는 것이 공천위의 기본 방침”이라며 원칙론을 폈다.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도 경선 룰을 놓고 신경전이 계속됐다. 이혜훈 최고위원은 “여론조사로 대체한다는 것이 사실인지, ‘컷오프’ 룰은 어떻게 되는지 당의 입장을 빨리 정해야 한다”며 후보등록일(15일) 이전에 확정해줄 것을 요구했다. 새누리당의 당헌·당규는 광역단체장 후보를 ‘대의원 20%, 당원 30%, 국민참여선거인단 30%의 투표에다 여론조사 20%’ 비율의 경선으로 선출토록 규정하고 있지만, 취약 지역의 경우 여론조사 경선을 실시할 수 있도록 예외를 두고 있다.

논란이 계속되자 공천위 부위원장인 김재원 전략기획본부장은 별도 브리핑에서 “당헌·당규 정신에 따라 원칙적으로 국민참여선거인단 투표에 의한 경선이 진행돼야 한다. 제주도도 예외가 아니다”며 여론조사 경선 불가 입장을 피력했다. 공천위는 11일 회의에서 제주도 지역의 여론조사 경선 실시 여부를 논의하고, 14일 최고위에서 최종 방침을 확정할 예정이다.

100% 여론조사 경선이 힘들다는 기류가 흐르면서 제주도지사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원희룡 전 의원의 불출마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그는 경쟁자인 우근민 현 지사가 지난해 11월 입당하면서 약 1만7000명의 당원을 끌어 모은 만큼 경선에서 당심 왜곡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당 지도부는 이들 대부분이 ‘6개월 이상 활동’의 책임당원 기준에 못 미쳐 투표권이 없기 때문에 경선을 실시해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