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그린빌리지’ 사업에 볕든다… 10가구 이상 묶어 태양광 발전 설치
입력 2014-03-11 02:32
충남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 향교마을에 사는 20가구는 2011년 7월에 단체로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했다. 10가구 이상이 한꺼번에 태양광 발전을 신청하면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정 비용을 지원해주기 때문이다. 덕분에 가구당 설치비용이 1100만원 정도였지만 실제로 들어간 돈은 250만원에 불과했다.
이 20가구는 태양광 발전을 시작한 뒤로 한국전력에서 공급하는 전기를 거의 쓰지 않는다.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작업을 진행했던 한화63시티가 이들 중 5가구의 1년(2011년 7월∼2012년 7월) 전기 사용량을 추적한 결과 3가구의 전기 사용량은 ‘제로(0)’였다. 나머지 2가구도 월 평균 40㎾와 19㎾에 불과했다. 5가구가 부담한 한 달 전기요금은 평균 5848원으로 전기 사용량과 관계없이 부과되는 기본요금(1130원), TV 수신료(2500원)를 제외하면 2218원에 불과했다.
국내 주택용 태양광 사업에 볕이 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산업에 활기가 돌면서 ‘그린빌리지’ 사업에도 가속도가 붙었다.
그린빌리지사업은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주택에 설치할 경우 정부나 지자체가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다. 그린빌리지 사업 신청을 위해서는 동일 최소 행정구역 단위(리·동)에 있는 마을(아파트 등 공동주택 포함)로 10가구 이상이 발전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통상 대상 주민들이 업체를 선정해 설치를 의뢰한다. 이후 정부나 지자체에 지원을 신청하면 심사를 거쳐 설치금액 중 일부가 보조금으로 나온다. 지원 대상은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소유자(신축 건물 포함) 등이다.
최근 태양광 발전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그린빌리지 신청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한화63시티에 따르면 그린빌리지 사업을 신청한 가구는 2010년 26가구, 2012년 29가구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305가구로 껑충 뛰었다. 한화63시티는 소규모 주택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사업을 하고 있다.
에너지관리공단이 집계한 그린빌리지 사업 실적도 최초 사업을 시작한 2009년 238가구에 그쳤지만 해마다 신청 건수가 증가세다. 2011년 9968가구까지 늘었고, 지난해까지 5년간 그린빌리지 사업에 참여한 가구는 2만4195가구로 불었다. 이 가운데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한 가구가 2만1994가구로 90.9%를 차지했다.
한화63시티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보면 그린빌리지의 경제적 이점도 상당히 크다”고 말했다. 태양광 발전설비는 한번 설치하면 20∼30년 쓸 수 있다. 이에 반해 투자비 회수 기간은 6년으로 짧은 편이다.
업계에서는 전기요금이 계속 오르고 있어 앞으로 투자비 회수 기간이 더 짧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정부에서는 전기요금이 낮아 과소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들어 전기에 개별소비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10일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이 좋아지면서 과거에 비해 주민들의 인식이 나아지고 있고, 정부 지원과 환경을 보호하는 무공해 에너지라는 홍보 효과까지 겹쳐 향후 주택용 태양광 발전시장 전망은 밝은 편”이라고 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