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고객정보 유출 본격 조사, 정부… 개인정보 보호 기술 TF 구성

입력 2014-03-08 02:31 수정 2014-03-08 16:41
6일 벌어진 KT의 사상 최대 규모 고객정보 유출 사건에 대해 정부 조사가 본격화됐다. KT는 2012년 고객정보 유출 이후에도 제대로 보안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미래창조과학부는 7일 ‘개인정보 보호 기술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다고 밝혔다. 관계부처와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TF는 정보 유출 경위 파악은 물론 해킹 대응방안 및 인터넷 이용환경 개선 대책 등도 점검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최근 일어난 정보 유출 사건들을 분석해 이달 말까지 종합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간부회의에서 “경찰청은 철저한 수사로 사고 원인을 조속히 밝히고 방송통신위원회는 수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책임소재를 규명해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KT 황창규 회장은 서울 광화문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국민 사과를 했다. 황 회장은 “고객정보가 두 차례나 대규모로 유출된 것은 IT 전문기업인 KT로선 수치스러운 일”이라며 “2012년 당시 보안 시스템 강화를 약속했음에도 유사 사건이 재발한 데 대해 변명의 여지가 없다”면서 머리를 숙였다. 이어 “과거의 잘못된 투자와 정책을 바로잡고 관련자들을 엄정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

KT는 기자회견에서 2012년 텔레마케팅 업자가 KT 고객 개인정보 873만건을 유출한 사건 이후에도 보안 시스템을 제대로 보완하지 않았다고 시인했다. 김기철 IT부문장 부사장은 “당시 사건 뒤 새로운 영업전산 시스템으로 바꿔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개발 프로젝트가 제대로 진척되지 않았다”면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새 전산 시스템은 지난해까지는 완료됐어야 했다.

한편 인천경찰청 광역수사대는 해커가 KT의 올레뮤직 등에서도 고객정보 50만건을 빼낸 정황을 잡고 고객 신청서를 일일이 대조해가며 부당 수익의 규모를 수사하고 있다.

임세정 기자, 인천=정창교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