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통합방식 ‘安+민주 일부’ 창당 후 민주 흡수키로

입력 2014-03-08 02:31 수정 2014-03-08 15:20

민주당과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연합은 7일 통합신당 창당 경로와 관련해 새정치연합이 주장해 온 ‘제3지대 흡수합당안’을 채택했다. 양측이 고심 끝에 창당 경로를 확정했지만 신당의 시너지 효과에 빨간불이 들어왔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나왔다.

◇안(安)은 주도권, 민주는 국고보조금 등 실리 챙겨=민주당 박광온 대변인과 새정치연합 금태섭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제3지대 신당이 민주당을 흡수합당하는 방식을 핵심으로 한 창당 방식 합의문을 발표했다. 새정치연합과 민주당 일부 세력이 제3지대에 신당을 만들고, 즉시 신당을 중심으로 민주당과 다시 합당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새정치연합이 주장한 것으로 정당법 상으론 ‘흡수합당’이다. 하지만 안 의원과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신당추진단장과 창당준비위원장을 공동으로 맡음으로써 민주당이 흡수되는 모양새를 최대한 피했다. 합의문에 ‘신당 창당 즉시 합당한다’고 밝힌 것으로 미뤄볼 때 ‘오전 신당 창당→오후 합당’ 등이 예상된다. 신당에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민주당 의원들은 창준위 상태에서는 민주당적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신당이 창당하면 민주당에서 탈당하고 신당에 입당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민주당이 안 의원에게 양보한 모양새다. 안 의원은 창당의 주도권을 쥐게 됐고, 민주당은 해산하지 않아도 돼 국고보조금을 지키게 됐다.

양측은 또 창당준비위원회 산하에 새정치비전위원회와 정강정책·당헌당규 분과 등 필요한 조직을 동수로 구성하기로 했다. 양측은 이달 안에 창당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당명 등 과제 산적=양측이 6일간의 논의 끝에 창당 경로에 합의했지만 과제는 여전히 산더미다. 당장 당 이름이 논란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민주를 뺀 ‘새정치미래연합’이라는 당명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민주당으로서는 당의 상징인 ‘민주’를 빼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여기에다 당 대표 임기를 얼마나 하느냐도 여전히 논란이어서 앞으로도 진통이 예상된다. 신당 창당 선언과 방식 결정 모두 김 대표와 안 의원이 직접 나서 결정하면서 협상기구인 신당추진단의 힘이 빠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 대표는 김·안 투 톱 체제로 가기로 결정한 가운데 논란이 됐던 ‘법적 대표’도 공동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할 방침이다. 안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선관위에 질의를 했는데 공동대표는 여러 명이 다 가능하다고 실무팀이 전해 들었다고 한다”고 말했다. 선관위 관계자도 “법적으로도 공동 대표 등록이 가능하다”며 “당 대표자 직인에 사람 이름을 쓰지 않기 때문에 한 사람 이름만 등록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합당 시너지 사라지나?=한국갤럽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통합의 시너지 효과가 흔들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율을 보면 새누리당 39%, 통합신당 31%로 조사됐다. 통합신당 지지율은 지난주 민주당(15%)과 새정치연합(18%)의 지지도를 합한 33%에 비해 2% 포인트 낮게 나타난 것이다. 그동안 통합신당의 지지율은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을 합산한 것보다 높다는 여론조사가 많았던 것에 비하면 이례적인 결과다.

안 의원과 문재인 의원 중 2017년 대선 야권 후보로 누가 좋은 지를 묻는 질문에는 안 의원 39%, 문 의원 36%로 팽팽한 접전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17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임성수 정건희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