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유엔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격돌

입력 2014-03-07 04:25

한국이 유엔 인권이사회(UNHRC)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일본의 태도를 강도 높게 비난한데 대해 일본이 ‘고노 담화’는 계승한다고 밝히는 등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다카시 오카다 주제네바 일본대표부 차석대사는 6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위안부 문제는 이미 배상을 통해 법적으로 해결됐다”며 “일본은 아시아 여성기금을 만들어 위안부 피해 여성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본은 1993년 위안부의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힌 적이 없다”며 “일본은 고노 담화를 통해 위안부 피해자에게 깊은 사죄를 했고 일본 정부도 견해를 바꾸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장관으로는 사상 처음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며 반인도적, 반인륜적이라는 단어까지 사용하며 강력한 비난을 퍼부은 데 대한 반박이었다.

이에 유연철 주제네바대표부 차석대사는 “한일협정 체결 당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된 적이 없으며 일본 정부는 여전히 법적 책임이 있다”고 재반박했다. 그는 또 “일본의 정치 지도자들은 최근 고노 담화를 부인하려 하고 있다”면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역사적 진실을 현재와 미래의 세대에게 제대로 교육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중국과 북한 대표도 잇따라 일본의 자세를 비난했다. 서세평 주제네바 북한대표부 대사는 일반 토론에서 “일본 당국은 국제사회가 요구하듯 과거의 범죄를 진정성 있게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중국 대표도 과거의 엄청난 범죄의 역사를 부정하려는 일본 정치인의 행태를 비난하면서 유엔의 권고에 따라 책임을 인정하고 문제 해결에 성의 있게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