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기득권 포기’ 상징은 安측 호남 공천·대등 합당

입력 2014-03-07 01:35


민주·安, 통합 효과 극대화 방안 고심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통합신당 창당과정에서 기득권 내려놓기를 강조하자 양측이 그 해법을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소수파인 안 의원의 새정치연합 지분을 어떻게 보장하느냐가 핵심이다. 결국 6·4지방선거의 호남 공천에 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양측은 김 대표와 안 의원을 공동대표로 내세운 데 이어 6일에는 ‘5대 5 원칙’을 적용한 현수막을 제작했다. 양측의 상징색을 절반씩 사용하는 등 통합의 취지를 강조했다.

그러나 진짜 숙제는 공천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다. 안 의원은 당초 독자 신당을 추진하면서 광역시·도지사 선거에서 ‘경기도 및 부산+호남 1곳’의 당선을 노렸다. 이것이 전국 정당화와 독자세력화의 기준인 것이다. 따라서 안 의원이 통합신당에서 성공적으로 뿌리를 내렸다는 평가를 받으려면 실제로 새정치연합이 이와 비슷한 성적을 거둬야 한다.

특히 민주당의 텃밭인 호남에서 안 의원 측 후보가 당선된다면 기득권 포기라는 측면에서 파급효과가 상당히 클 수 있다. 안 의원 측은 전북도지사와 광주시장을 노리고 있다. 하지만 어떤 경선방식을 적용하더라도 지역 조직이 약해 민주당 후보를 꺾기는 만만치 않다. 때문에 내심 전략공천을 바라는 눈치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새정치연합은 지역 조직이 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할 수 있는 경선 방식을 만들 수 있다”며 “(전략공천은) 아직 말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귀띔했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새정치연합의 성공을 보장할 경우 제 살을 깎아내야 하고, 반대로 힘으로 밀어붙일 경우 통합의 시너지를 잃게 되는 딜레마에 빠졌다. 전략공천이야말로 지분 나눠 먹기의 전형이라는 당 안팎의 비판도 부담이다.

김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가 안 의원 측의 요구 조건을 최대한 반영하고 있는 협상장 분위기를 감안하면 전략공천 등 파격적인 방안이 채택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안 의원은 “더 내려놓아야 한다”고 민주당을 압박하고 있다.

안 의원은 경기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김상곤 전 교육감과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있다. 독자 신당으로 영입을 하지는 못했지만 김 전 교육감이 ‘안철수 사람’이라는 인식을 심어야 한다는 판단으로 보인다. 김 전 교육감은 서울 여의도에 있는 새정치연합 사무실에서 안 의원과 만나 “새정치연합이 이루고자 하는 새로운 정치, 그것과 함께 통합신당이 나아가는 길에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통합신당 창당 방식으로는 새정치연합이 먼저 창당한 후 민주당과 당 대 당으로 합당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양측이 대등하게 합당하는 모양새를 갖추려고 한 결과다. 새정치연합은 민주당에 흡수되는 모양새가 되는 것을 극도로 꺼려 왔다. 민주당 박광온 대변인은 “새정치연합이 흡수되는 모양새가 되지 않도록 해서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엄기영 정건희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