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 이용자 고용·복지 지원 추진… 대출사기 피해자 우선 혜택

입력 2014-03-07 01:34

금융당국이 서민금융을 이용하는 취약계층 100만여명을 대상으로 정부의 고용·복지 혜택을 받도록 연결해주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특히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대출사기 피해자 5만명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은행과 함께 심층 상담을 통해 고용 및 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6일 서민·취약계층에 대한 상담 과정에서 고용·복지 수요자를 적극 발굴해 정부 전문상담세터에 체계적으로 연결해주는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달 ‘불법사금융 및 개인정보 불법유통 신고센터(1332)’를 통해 고용·복지상담 연계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개시했다. 이 서비스는 고용·복지 상담 서비스 전용 단말기를 보건복지부의 사회보장시스템과 연결해 상담자들을 각 지역 복지센터 및 고용센터 관계자들과 면담하도록 주선하는 방식이다. 대상은 새희망홀씨 이용자 80만명, 이지론 이용자 11만명, 서민금융 피해신고자 약 10만명 등이다. 새희망홀씨는 소득이 적거나 신용이 낮아 은행에서 대출받기 어려웠던 사람에게 대출해 주는 서민 맞춤형 대출상품이고 이지론은 서민들의 사금융 수요를 제도권 금융회사로 흡수하기 위해 설립된 맞춤형 대출중개 서비스다.

특히 최근 잇따른 개인정보유출 사고를 계기로 대출사기 피해자들에 대한 서비스 지원에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금감원은 이와 관련,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금 환급시스템 등을 활용해 약 5만명가량 되는 대출사기 피해자들에 대해서도 정부의 고용·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연계시스템을 구축·운영하기로 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