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창당 경로·공천 문제 등 디테일 속 ‘악마’에 진통… 권력 배분 놓고 힘겨루기

입력 2014-03-06 02:33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5일 지도부 구성이라는 1차 관문은 통과했다. 그러나 창당 경로, 지방선거 공천 문제 등 권력 배분 방식에 여전히 이견이 적지 않다. 과거 야권의 합종연횡에서도 ‘통 큰 연대’를 말했지만 창당 과정, 지도체제와 공천 등 디테일에 숨어 있는 ‘악마’ 때문에 적잖은 진통을 겪었다.

◇공동대표로 첫 삽은 떴지만=양측이 합의한 공동대표 방식은 2008년 2월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합당해 만든 통합민주당 초대 지도부 체제와 같다. 당시 신당은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대표였던 손학규·박상천 공동대표 체제로 출범했다.

그러나 공동 대표와 지도부 동수라는 합의는 지도부의 기본 뼈대만 세운 것이다. 당이 어떤 의사 구조로 주요 사안에 대한 심의와 결정을 할지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논의가 필요하다. 통합민주당 손·박 공동 대표 체제도 ‘합의제 운영’을 당헌에 명시했지만, 각종 현안에 대한 의견 충돌이 잦았다.

김한길·안철수 투톱 체제는 일단 지방선거까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당내 권력지형은 또 한 차례 요동칠 전망이다. 중도 성향의 지도부가 수도권 등 접전지역에서 선전할 경우 당권을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선거에서 패할 경우 조기 전당대회 개최 요구가 커지면서 친노계와 486정치인 등 진보 그룹의 대반격이 예상된다.

양측의 해석이 엇갈렸던 ‘제3지대’ 창당 방식은 이르면 6일 확정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 측 신당추진단장인 김효석 공동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서너 가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조만간 방식이 확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민주당은 제3지대에서 신당과 합당하는 형태로 통합한다는 입장이었지만 새정치연합 일각에서는 ‘민주당 해산 후 개별 입당’ 목소리도 나왔다. 민주당은 당을 해산하면 55억원대 국고보조금을 날리고, 당원 수십만명이 다시 가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반면, 새정치연합은 당대당 통합이 ‘흡수통합’으로 비춰지는 데 거부감을 드러내 왔다.

◇‘나눠먹기 없다’지만 ‘도로 민주당’ 고민도=통합신당은 지방선거 후보 공천에서도 ‘5대 5 정신’을 실현해야 할 난제를 안고 있다. 일단 민주당이나 새정치연합 모두 ‘5대 5 원칙’이 지분 나누기는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다. 그러나 ‘통합’이라는 명분을 위해선 ‘공천 안배’라는 현실적 고민도 할 수밖에 없다. 당원·대의원을 포함한 기존 방식으로 경선을 할 경우 민주당이 새정치연합에 비해 압도적으로 유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광역단체장 후보가 대거 민주당 후보로 확정되면 ‘도로 민주당’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민주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김 대표나 설훈 신당추진단장은 가능한 한 저쪽(새정치연합)을 배려하자는 생각”이라며 “우리 쪽이 양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을 배려한 공천이 될 경우 민주당 측 후보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2008년 통합민주당은 총선 공천을 두고 박상천 대표가 구 민주당계 인사들에 대해 전략공천을 요구하면서 내분에 휩싸였다. 민주통합당도 2012년 총선에서 공천 기준에 모바일 선거인단을 포함시키면서 계파 간 갈등을 빚었다.

민주당의 한 당직자는 “광역단체장 공천에서 전략공천을 한 적은 한 번도 없는 것으로 안다”며 “민주당과 안 의원 측 후보들이 모두 공감할 공정한 기준을 만드는 게 관건”이라고 전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