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최남단 마라도 전동카트 보상한다

입력 2014-03-04 14:50

[쿠키 사회] 국토 최남단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도에서 호객 행위와 교통사고 등으로 각종 문제를 일으켰던 전동카트가 사라질 전망이다.

서귀포시는 1억4600만원을 들여 마라도 전동카트 74대 가운데 64대를 사들인 후 폐기처분하는 감차보상 절차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시는 전동카트 감차 보상을 위한 감정평가를 실시한 이후 다음달까지 감차보상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전동카트 운행으로 각종 문제가 끊이지 않자 2011년 11월부터 마라도내에서 전동카트 운행을 전면 금지했다.

마라도는 2005년 청정환경특구로 지정돼 차 없는 섬으로 탈바꿈했다. 그러나 주민들이 차량 대신 전동카트를 구입해 관광객들을 상대로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전동카트가 80여대에 이르면서 주민들간 과다한 호객행위가 발생하고, 교통사고도 잇따르게 된 것이다.

마라도 주민들은 서귀포시가 전동카트 운행을 중단시키자 생계유지를 이유로 카트 10대만 남기고 나머지는 행정당국이 매입해 처리해 달라는 내용의 청원서를 도의회에 제출했다.

제주도의회가 마라도 주민들의 청원을 상정해 가결하면서 전동카트 감차보상이 이뤄지게 됐다.

서귀포시는 “도의회가 감차 보상을 의결해 보상이 가능하게 됐다”며 “주민들은 물자운반 등을 위해 필요한 10대 이외의 카트를 추가로 구입하지 않겠다고 협의했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앞으로 골프카 10대를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하게 된다.

마라도 주민 91명은 현재 1t 화물차 1대에 의존해 생필품을 운송하고 있다.

마라도 해녀들은 “마을 공동차량이 1대 뿐이어서 미역과 톳 등 해산물을 운송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크레인이 달린 차량을 추가로 도입하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

양병식 서귀포시장은 최근 마라도를 방문한 자리에서 “청정 마라도를 유지하기 위해 경유차 대신 전기 화물차 도입을 추진하겠다”며 “차량이 부식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 차고지를 설치하는 등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주=국민일보 쿠키뉴스 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