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연구개발특구’지정 부산시와 공동 추진
입력 2014-03-04 01:33
경남도가 창원시, 김해시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연구개발특구’ 지정에 부산시와도 손을 맞잡았다.
경남도는 부산 강서구 일원의 부산연구개발특구와 창원·김해 일원 607만㎡규모의 경남연구개발특구를 합한 ‘통합 연구개발특구’를 부산시와 함께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현재 부산시와 잠정 합의안을 도출한 상태로 지난해 10월부터 연구개발특구육성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오는 5월 부산과 공동으로 미래부에 연구개발특구 지정(변경) 신청을 할 계획이다.
도는 이를 위해 지난해 9월 경남도, 부산시, 창원시, 김해시, 경남TP 공동으로 실무협의회를 구성했다.
‘통합연구개발특구’는 앞서 추진된 거가대교, 부산경남과학기술원 유치에 이은 양 지자체 간 공동협력으로 큰 성과를 거둘 전망이다. 연구개발특구는 창원의 경우 재료연구소, 전기연구원과 같은 기존 R&D 인프라를 바탕으로 추진된다. 김해에는 올해 완공되는 LNG 극저온기계기술시험인증센터를 주축으로 해양플랜트 부품 및 소재 연구개발 지원이 이뤄진다.
창원시 북면 대산리 일원에 재료연구소, 전기연구원, 창원대, 경남대를 포함해 총 486만㎡가 특구에 포함된다. 김해에는 진례면, 주촌면 일원과 인제대를 포함해 총 121만㎡에 특구가 조성된다.
‘연구개발특구’가 지정되면 경남의 산업기반과 부산의 대학 및 인력, 양 지역의 공동 연구개발 인프라 등의 결합돼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관계자는 “통합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다면 다시 한 번 양 지자체 간의 상생발전 모델이 창출되는 것으로 양 지역 산업발전에 가속도가 붙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