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安따라 갈까·안따라 갈까… 파괴력 반신반의
입력 2014-03-04 02:32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창당을 추진하면서 통합신당이 실제 어느 정도의 파괴력을 보일지가 정치권의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지난 대선 때부터 이른바 ‘안풍’을 불러일으킨 무소속 안철수 의원 지지자들이 통합신당을 계속 지지해줄 것인지 주목된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창당 과정에서 기존 안 의원의 새정치연합을 지지하던 유권자들의 일부 이탈은 불가피하다”며 이탈 폭의 규모가 선거 결과를 가를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일단 통합신당은 정치적 이벤트 직후 지지율이 상승하는 컨벤션 효과에 힘입어 시너지를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창당이 이슈화된 초반에는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을 합친 것 이상의 플러스 알파(+α) 지지율을 보일 것이라는 의미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창당 선언 직후에는 야권의 표 결집이 예상된다”며 “특히 부동층 가운데 20∼30대 젊은 유권자들이 통합신당 지지층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통합진보당, 정의당을 포함한 범야권 지지층과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밝히는 순수 부동층 중 안 의원에게 호감을 가진 일부가 일시적으로 통합신당을 지지하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실제 내일신문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디오피니언이 전날 창당 선언 직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통합신당은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지지율의 단순 합계인 26.6%에 비해 7.7% 포인트 높은 34.3%의 지지율을 얻었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오차는 ±3.5% 포인트였다.
그러나 컨벤션 효과에 따른 지지율 상승이 지방선거 국면에서 장기간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새정치연합 지지자 가운데 기성 정치권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20∼30%는 통합신당에 지지를 보내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윤희웅 민정치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은 “통합신당 입장에서는 이탈표를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라며 “창당 과정에서 민주당이 주도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비치느냐, 새정치연합이 주도하는 것으로 비치느냐에 따라 이탈 폭 규모가 결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방선거 후보자들이 민주당 쪽 인사들로 다수 채워질 경우 기존 새정치연합 지지자들이 반발해 통합신당 지지를 철회할 것이라고도 했다. 지용근 글로벌리서치 대표는 “창당에 따른 시너지는 별로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오히려 창당이 논의되는 과정에서 새정치연합 그룹과 민주당 친노(친노무현)계 사이 갈등이 주요 이슈로 부각되면서 지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당장 여론조사 수치로 나타나지는 않겠지만 야권의 통합신당 창당이 보수층에 위기감을 조성해 결집을 불러올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배 본부장은 “지방선거를 3개월이나 앞둔 이른 타이밍에 창당이 추진되면서 보수층이 결집할 시간적 여유가 충분해졌다”며 “특히 높은 국정수행 지지율을 보이는 박근혜 대통령을 중심으로 보수표가 뭉치고 결과적으로 새누리당 후보들의 득표율로 이어질 개연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