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공천 vs 공천폐지’ 구도 만들기… 與 ‘상향식 공천’ 승부수
입력 2014-03-04 02:31
새누리당이 6·4지방선거에서 ‘기초선거 프레임’ 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한 구도 수정에 공을 들이고 있다. 상향식 공천을 통해 ‘국민공천 대 공천폐기’ 프레임을 만들겠다는 것으로, 새누리당의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공약 후퇴에 대해 통합신당이 짜고 있는 ‘거짓 대 약속’ 구도를 깨기 위한 포석이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특권을 내려놓는다는 공약의 취지를 살려 경선을 통해 지방선거 후보를 공천하고, 공천권을 쓰레기통에 버리는 우는 막자는 방안”이라며 상향식 공천을 ‘국민공천’이라고 규정했다.
공천관리위원회는 4∼10일 지방선거 경선 후보자 접수를 받고 이달 안에 예비 심사를 거쳐 4월 한 달간 지역순회 경선을 치를 계획이다.
관건은 상향식 공천이 얼마나 전면적이 될 수 있느냐와 경선의 흥행 여부다. 때문에 공천권에 대한 중앙당의 칼자루인 ‘컷오프+우선공천’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내에서는 경선 후보자를 3∼4배수 이상 확보해 경쟁을 최대한 보장하고, ‘낙하산 공천’ 논란이 나올 수 있는 우선공천의 경우 호남지역 등 후보자가 없는 곳으로 한정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경선의 흥행 역시 주목도가 높은 통합신당의 창당 과정에 맞설 수 있는 볼거리 요소다. 핵심 당직자는 “통합신당은 후보자보다 당이 주목받겠다는 입장인 반면 우리는 경선을 통해 당보다 후보자를 부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김황식 전 국무총리와 같은 비(非) 당원의 경선 참여를 위해 6개월 이상 당비 납부가 필요한 책임당원 규정을 일시불도 가능케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공약 폐기 논란을 돌파하기에는 파괴력이 떨어지는 구도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당 일각에서는 상향식 공천의 핵심 수단인 경선이 결국 현역 정치인의 기득권을 강화해 ‘새 정치’ 경쟁에서 명분이 밀리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 의원은 “현역 의원에게 유리한 경선 방식 때문에 앞으로 세대교체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반발도 거세다”고 지적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