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우 목사의 시편] 안전공화국으로 가는 길
입력 2014-03-04 01:34
하버트 윌리엄 하인리히는 보험회사에서 산업재해 담당관으로 근무하며 노동재해 5000건을 분석했다. 1건의 중상자가 나오기까지 같은 사건으로 경상자 29명, 잠재적 상해자 300명이 있었다는 것을 찾아냈다. 한 번의 대형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이미 그 전에 유사한 29번의 경미한 사고가 있었고 300번의 이상 징후가 감지되었다는 것이다.
지난달 17일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에서 체육관 붕괴 사고로 10명의 젊은이가 목숨을 잃고 110여명이 부상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그런데 학생회와 학교, 건축주와 시공사, 군청과 동사무소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태도는 우리를 두 번 슬프게 하고 있다.
2011년 일본 대지진 최대의 미스터리는 ‘오카와 초교’ 참사라고 한다. 어린이 108명 중 74명이 그리고 인솔교사 10명이 사망했다. 교장은 외출 중이었고 우왕좌왕하다가 잘못된 선택을 했다. 1997년 8월 KAL기 괌 추락 사고로 인해 229명이 사망했다.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는 공항의 유도장치 고장, 나쁜 일기, 조종사의 무리한 착륙 시도 등 복합적인 원인을 지적했다. 두 참사의 공통적인 원인 중 하나는 ‘상명하복문화’라고 한다. 말콤 글래드웰도 ‘아웃라이어’에서 우리나라 조종사의 상명하복문화를 괌 추락 사고의 결정적 요인으로 꼽았다. 부기장이 기장에게 단호하게 말할 수 없는 문화, 부기장이 위험을 느끼고 ‘복항(Go Around)’을 외쳤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이 안전공화국으로 가려면 상명하복문화를 극복하고 수평적 의사결정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물론 그 길이 쉽지 않다. 하지만 포기할 수 없다. 안전문화는 먼저 책임의식에서 출발한다. 학교와 학생회, 공무원과 리조트는 모두가 각자의 책임에 집중하고 방지책을 찾아야 한다. 경찰은 사고 원인을 조금의 의혹도 없이 조사해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정부는 안전 기준을 높이고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캐나다에서 공부할 때 우리 가정의 실수로 두 번이나 소방관이 출동했었다. 요리를 할 때 환풍기를 켜지 않은 것이 원인이었다. 센서가 그렇게 예민하게 작동한다는 것을 몰랐다. ‘요리 중에 생긴 작은 실수’라고 설명했지만 경비는 입실을 허락하지 않았다. 소방관이 도착해 안전을 확인하고 입실을 허락하기까지는 절차가 제법 복잡했다. 사이렌 소리에 모든 주민이 대피해야만 했다. 그해 토론토의 겨울은 유난히 추웠고 그날은 더더욱 추웠다.
하나님은 실수가 없으시다. 우리의 머리털까지 세시고, 세미한 음성까지 들으신다. 졸지도 주무시지도 아니하신다. 우리가 졸지 않고 자지 않고 살 순 없어도 하나님의 세심한 배려를 배워야 한다. 머리털까지 세는 세심함으로 생명을 관리하기 위해 안전의식과 수준을 높여가다 보면 안전선진국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일산 로고스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