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야권 신당, 정치혁신 방안 빨리 내놔라

입력 2014-03-03 01:51

‘안철수의 새 정치’ 실종 우려된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제3지대 신당’(야권 신당) 창당 합의는 6·4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과 1대 1로 맞서기 위한 전략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 민주당은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새정치연합 창당을 앞두고 선거연대를 끊임없이 주장해 왔다. 야권 분열에 따른 새누리당의 어부지리를 걱정해서다. 새정치연합은 선거에 출마할 인물 영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신당 창당에 역부족을 느끼던 참이었다. 이에 양측은 연대를 넘어 신당 창당이란 예상 밖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적잖은 국민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갖게 하기에 충분한 ‘정치적 사건’이다.

그러나 양측이 야권 신당의 성공을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는 한둘이 아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당 창당의 명분이 약하다는 점이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안 의원이 기자회견에서 ‘새 정치를 위한 신당 창당’을 강조했지만 안 의원이 독자적인 신당 창당을 포기한 이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기초선거 정당공천을 하지 않겠다는 대선 때의 대국민 약속 이행을 내걸었지만 그것이 창당의 명분이 될 수는 없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지금까지 민주당을 새누리당과 더불어 타파 대상의 낡은 정치세력이라고 몰아붙였다. 안 의원은 “100년 가는 정당을 만들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선거연대에 대해서는 “이길 수 있는 자신감이나 의지가 없는 패배주의 시각”이라고 거부 의사를 밝혔었다. 그런 사람들이 연대도 아니고 통합을 하겠다니 많은 국민들은 어리둥절할 수밖에 없다. 선거에서 이기기 위한 정치공학적 판단을 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안 의원이 ‘새 정치를 포기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비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신당 창당 과정에서 새 정치, 혹은 정치혁신에 대해 분명한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민주당 김 대표도 정치혁신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만큼 이를 안 의원의 새 정치와 접목시켜 국민 가슴에 와 닿는 대책을 조기에 내놓을 필요가 있다. 여권의 국정운영에 발목이나 잡는 구태에서 벗어나 합리적 견제세력으로 거듭나는 것도 새 정치에 속한다.

야권 신당은 창당 과정과 그 이후 극심한 계파 갈등, 권력다툼에 빠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 당장 양측이 창당을 추진하면서 지분싸움에 휩싸일 가능성이 있고 민주당 내 친노와 비노, 새정치연합 세력이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내홍을 겪을 수도 있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이념적 지향점 차이도 해결이 쉽지 않은 부분이다. 이런 문제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할 경우 창당의 시너지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양측 중진들의 정치력 발휘가 필요한 부분이다.

야권 신당이 2016년 총선 승리와 2017년 집권을 생각한다면 창당과 지방선거 과정에서 외연을 넓히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해나가야 한다. 호남당 이미지에서 벗어나 영남을 비롯한 전국에서 골고루 지지를 받지 않고는 정권 탈환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명심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