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시설·경비 간접 고용근로자 1274명 정규직 전환 시작
입력 2014-03-02 15:32
[쿠키 사회] 서울시의 시설·경비 간접 고용근로자 1274명에 대한 정규직 전환이 시작됐다. 민간용역업체 소속인 간접고용 비정규직 6000여명을 단계적으로 정규직화하는 2012년 ‘서울시 2차 비정규직 고용개선대책’의 후속작업이다.
시는 본청, 사업소, 투자출연기관에서 간접 고용한 시설·경비 용역근로자 중 업체와 계약이 만료된 213명을 3월 1일자로 직접 고용했다고 2일 밝혔다. 이로써 올해 정규직으로 전환된 시설·경비업무 근로자는 44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시설·경비업무 직접 고용 대상자(1274명)의 35% 수준이다. 시는 나머지 826명에 대해서는 내년 말까지 단계적으로 전환시킬 예정이다.
직접 고용으로 바뀌면 2년간 공무직 전환의 전 단계인 ‘준공무직’ 신분이 된다. 준공무직은 시의 비정규직 대책과 함께 도입된 것으로, 고용형태는 기간제근로자이나 정년까지 고용이 보장되는 근로계약 체결 대상을 뜻한다. 정년은 60세가 원칙이지만 경비, 운영지원, 취사 등 고령자 적합업무의 경우 청소업무처럼 65세까지 근무할 수 있다.
임금은 기관별 업무내용 및 난이도 등을 반영한 ‘성과급적 연봉제’가 적용된다. 성과급은 업무보상 강화 등을 위한 것으로, 평가 결과에 따라 연 1회 최고 기본연봉의 5%가 지급된다. 시는 이를 통해 시설근로자 및 경비근로자 임금이 각각 7.2%와 7.4%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의승 시 일자리기획단장은 “지난 1일까지 청소업무 3435명 등 전체 대상자 6000명 중 3883명(약 65%)에 대한 직접고용 전환이 완료됐다”며 “내년부터는 주차, 안내, 운전 등 기타업무 509명에 대해서도 직접 고용을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시는 시설·경비 및 기타업무 정규직화와 관련, 전환 시점에는 추가 예산부담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용역업체 외주 때 인건비 343억원이 직접 고용 시 397억원으로 15.7% 늘어나지만, 업체 이윤·관리비 등 소요경비가 기존 315억원에서 260억원으로 17.5% 줄어든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