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1절 95주년에 다시 보는 日 아베 정권
입력 2014-03-01 01:51
제95주년 3·1절이다. 무력을 앞세운 일제(日帝)의 무자비한 식민 지배에 맞서 온 국민이 “대한민국 독립 만세”를 외침으로써 우리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린 날이다.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최대 규모의 민족운동인 3·1운동은 3개월여 동안 지속됐다. 비폭력적인 시위였지만 일제는 총칼로 7500여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럼에도 일본의 아베 정권은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 침략의 역사를 진심으로 반성하기는커녕 전혀 사과할 게 없다는 투의 망언을 일삼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한 1993년의 ‘고노 담화’를 재검증하겠다고 나섰다. 나아가 일본의 어린 학생들에게도 왜곡된 사실(史實)을 심어주려 하고 있다.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것도 여전하다. 일본 내 우익세력으로부터는 박수를 받는다지만 국제사회로부터는 비난이 쏟아지는 건 당연한 이치다.
2차대전 당시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을 거듭 사죄해 온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며칠 전 시몬 페레스 이스라엘 대통령으로부터 이스라엘에서 가장 영예로운 훈장인 ‘명예시민 메달’을 받았다. 피해자가 용서할 만큼 가해자가 진심으로 사과한 결과다. 얼마나 아름다운가. 아베 총리는 지금부터라도 역주행을 멈추어야 한다. 그리고 “독일인은 홀로코스트에 영원한 책임이 있다”는 메르켈 총리의 말처럼 일제의 악행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 박 대통령이 지난해 3·1절 기념사를 통해 강조한 대로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역사적 입장은 1000년의 역사가 흘러도 변할 수 없다. 박 대통령은 올해 3·1절 기념사에서 아베 정권을 보다 강하게 꾸짖어야 할 것이다.
박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도 관심이다. 북한은 이산상봉 행사를 끝내자마자 자신들이 억류 중인 선교사 김정욱씨의 기자회견을 열어 ‘반국가 범죄’를 자백하도록 했다. 동해상으로 단거리 미사일을 쏘기도 했다. 모처럼 한반도에 조성된 화해 분위기를 손상시키는 일들이다. 북한은 김씨를 조속히 남측으로 돌려보내고, 무력 도발을 중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