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옛 소련권 조지아 “5년내 EU 회원국”
입력 2014-02-28 01:35
옛 소비에트연방 국가로 흑해 연안 소국인 조지아가 우크라이나 사태를 바라보며 친서방노선을 강화하고 있다. 5년 안에 유럽연합(EU) 회원국이 되겠다는 야심 찬 계획까지 스스럼없이 밝힐 정도다.
이런 분위기는 지난해 11월 31세의 나이로 총리 자리에 오른 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조지아 총리의 말에서 읽을 수 있다. 그는 25일 포린폴리시(FP)와 가진 인터뷰에서 “조지아는 러시아가 아닌 EU와의 통합을 원하고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을 원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에트연방이 무너진 뒤 1991년 독립한 조지아는 러시아의 영향력이 강한 곳이다. 450만명의 주민 중 러시아계 인구가 많은 데다 러시아로부터 가스 등 에너지 의존도가 높았다. 하지만 2003년 11월 부정선거 시비로 장미혁명이 발생하면서 러시아와 일정 부분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특히 2008년 8월 러시아가 러시아인 보호를 명분으로 압하지아와 남오세티아 자치공화국에서 전쟁을 일으켜 이들의 분리 독립을 승인해 감정은 좋지 않은 편이다.
러시아의 영향력 축소를 위해 조지아는 지난해 11월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서 EU와 자유무역협정(FTA)을 포함하는 포괄적 협력협정에 가조인했다. 지난 20일에는 EU에너지 공동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EU집행위원회와 1차 협상에 들어가기도 했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안에 정식 협력협정을 맺겠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압력을 막기 위해 정식 체결시기도 당초 9월에서 8월로 앞당겼다.
조지아는 미국과도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가리바슈빌리 총리는 24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데 이어 26일에는 미·조지아 전략동반자위원회에 참석해 존 케리 국무장관과도 만났다. 이 자리에서 미국은 조지아에 대한 지원과 함께 압하지아와 남오세티아에 주둔 중인 러시아군의 조속 철군을 촉구했다.
다만 조지아는 최근 정치적 혼란을 겪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우려스러운 모습으로 바라보고 있다. 러시아가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가 자신에게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조지아는 남오세티아 반환 요구 등 러시아를 자극하기보다는 실질적인 변화로 영토 회복 등 실리를 취하려는 계산이다. 가리바슈빌리 총리는 “올해 말까지 5%의 경제성장을 이루고 생활수준이 나아지는 모습을 보인다면 그곳(남오세티아 등) 주민들의 생각도 자연스럽게 바뀔 것”이라고 강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 우크라이나와 달리 조지아는 러시아 의존도가 높지 않다며 이 때문에 러시아의 태도도 다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