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나루] “당직 독점” 맹공 친박 저격수 이번엔 같은 이유로 역공 당해

입력 2014-02-28 02:33


6·4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직을 차지하기 위한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 주류와 비주류의 내부 쟁탈전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비주류가 최근 최고위원회의의 서울지역 당원협의회위원장 의결·임명 건에 대해 ‘친박 독점’이라며 이의를 제기하자 이번에는 주류가 ‘친박 저격수’ 격인 김성태 서울시당위원장의 ‘당직 독점’에 시비를 걸고 반격에 나섰다.

27일 최고위원회의에선 의외의 인물이 등장했다. 지도부 소속이 아닌 김을동(서울 송파병) 의원이 회의에 참석해 “서울시당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하면서 스스로 공천위원장을 맡고, 독단으로 공천위원까지 선정했다”며 김 위원장을 공개 질타했다. 김 의원은 서울 구로갑·노원을·동작갑 당협위원장 임명에서 친박 핵심 홍문종 사무총장이 전횡을 저질렀다고 한 김 위원장에게 똑같은 논리의 반박을 가했다.

회의 분위기가 술렁이자 황우여 대표가 제지하며 비공개 발언을 주문했지만 유기준 최고위원 등 친박 지도부가 공개 발언을 요청했다. 김 의원은 “서울지역 의원들과 상의하지 않았다”며 오히려 목소리를 높였다.

당내에서는 공개 비판에 대해 친박 주도의 당 지도부가 김 의원을 내세워 비주류에 역공을 가한 것이라는 뒷말이 오갔다. 김 의원도 회의 뒤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어제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와의 통화에서 회의 참석 문제를 의논했다”고 말했다. 윤 수석부대표는 친박 주류에 속하고, 김 의원은 친박연대 출신으로 친박 좌장인 서청원 의원의 측근이다.

최고위는 김 위원장의 서울시당 공천위 구성안 의결을 보류하고, 거꾸로 시·도당위원장과 시·도당 공천위원장 겸직을 금지하는 지침을 하달했다. 일부 최고위원이 황 대표에게 서울 구로을·동작갑 당협위원장의 자진 사퇴를 권고하라며 김 위원장 손을 들었지만 황 대표는 “한번 의결된 것을 번복하면 앞으로의 최고위 의사결정에 차질이 생긴다”며 사실상 친박 주류의 손을 들어줬다.

되치기를 당한 김 위원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조치는 친박 지도부와 친박 인사가 합작한 정치보복이자 계파정치의 본보기”라며 반발했다. 이어 “주요 당직자로 발언권이 제한된 최고위에 김 의원이 이례적으로 참석해 발언한 것은 나에게 불만이 있는 친박 지도부 입김이 작용한 것”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