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호기 졸속 재가동”
입력 2014-02-27 04:06
시험성적서 위조 파문으로 가동이 중단된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호기가 안전성 확인 없이 지난달 졸속으로 재가동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정의당 김제남 의원이 26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등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부품 가운데 현재 이들 3기 원전에 그대로 사용 중인 부품은 150개 품목, 9만9621개로 집계됐다. 또 위조 사실을 확인하기 어려운 부품은 98개 품목, 1만134개였다.
이들 부품은 모두 원전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안전등급(Q) 관련 제품으로 당시 문제가 된 전체 부품 228만2725개 가운데 4.3%에 해당한다.
원안위는 해당 부품의 재고가 없어 당장 교체할 수 없다는 한국수력원자력의 입장을 받아들여 검증된 방법으로 안전성 검증을 한 뒤 일단 사용하고 18개월 후 계획 예방정비 때 정상 부품으로 바꾸도록 승인했다.
문제는 한수원이 129개 품목, 9만9327개 부품에 대해서는 비파괴·화학검사 등을 거쳐 안전성을 어느 정도 확인했으나 콘크리트 내 매설 등으로 검사를 할 수 없는 부품 294개는 운전가능성 평가로 대체했다. 운전가능성 평가란 부품의 고장·정비 이력, 해당 부품 고장 시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기기의 계속 운전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하지만 신고리 1호기와 신고리 2호기·신월성 1호기의 상업운전기간이 각각 22개월, 10개월에 불과해 해당 항목의 데이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이력 평가 등이 제대로 이뤄졌을지 의문이라고 김 의원실은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수원 측은 “운전가능성 평가를 통해 기본 점검 항목뿐만 아니라 해당 부품이 설치된 기기의 고장 발생 가능성, 고장 시 기기·계통 운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심도 있게 평가했다”고 반박했다. 이어 “운전가능성 평가 뒤 나온 보고서는 원안위의 철저한 검토와 평가를 거쳐 확정된 것”이라며 “운전기간이 짧다고 평가가 미흡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오류의 소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