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한폭탄’ 가계부채 1000조 넘었다

입력 2014-02-26 02:04

주택담보대출이 급증, 가계부채 1000조원시대가 공식화됐다. 9년 만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소득에 비해 부채 증가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다. 금리가 오를 경우 소비 위축과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수 있어 가계부채 문제는 당분간 경제 운용의 심각한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2013년 4분기 중 가계신용(잠정)’ 자료에서 지난해 말 현재 가계신용은 1021조3000억원으로 3분기보다 27조7000억원 늘었다고 25일 밝혔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금융기관에서 빌린 가계대출과 카드 및 할부금융사를 통한 판매신용 등을 합친 것이다.

2004년 말 494조2000억원이던 가계부채는 2010년 843조2000억원, 2011년 916조2000억원, 2012년 963조8000억원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증가액은 2010년 4분기의 역대 최대치(27조2000억원)도 뛰어넘었다. 취득세 인하 등 정부의 부동산 관련 대책 영향으로 가계부채가 주택대출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난 것이다. 예금은행의 4분기 가계대출은 증가액 8조4000억원 중 6조7000억원이 주택대출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세제혜택 종료를 앞두고 은행과 공적금융기관의 주택 관련 대출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소득보다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2012년 말 가처분소득에 대한 가계부채 비율은 163.8%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9월 기준으로 이 수치가 169.2%로 더 악화한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중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설 경우 변동금리 주택대출 비중이 80%가 넘는 상황에서 연체율 급증에 따른 금융기관 연쇄 부실로 금융위기가 도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무디스 등 국제 신용평가사들이 우리 경제의 위험 요인으로 가계부채를 빼놓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