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혁신 3개년 계획] “벤처가 답이다”… 제2의 붐 조성에 총력
입력 2014-02-26 02:31
정부가 향후 3년간 4조원을 투입해 ‘제2의 벤처붐’을 조성키로 했다. 혁신적인 창조경제를 만들려면 벤처·창업 생태계를 튼튼히 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엔젤투자자(신생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 지원을 늘려 창업 리스크를 줄이고, 잠재력이 우수한 중소기업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김대중정부 시절 의욕적으로 추진했다가 2000년대 초반 IT버블 붕괴의 직격탄을 맞고 움츠러든 벤처산업을 다시 일으킨다는 각오다.
정부는 지난해 5월 발표된 ‘벤처·창업 활성화 대책’의 골격에 맞춰 창업-성장-회수-재도전 단계별로 맞춤형 지원을 늘릴 계획이다. 창업 단계에서는 자금 지원을 늘려 창업자 1만3000명을 육성한다. 청년창업과 엔젤투자를 지원하는 펀드가 7600억원(정부재정 4600억원, 민간재원 30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엔젤투자에 세제 혜택도 늘린다. 1500만원 이하 엔젤투자 금액에는 3년간 한시적으로 100%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150억원을 들여 청년인재 육성 프로그램인 ‘벤처 포 코리아(Venture for Korea)’를 신설한다. 청년 인재가 유망 벤처기업에서 1년간 인턴십을 경험한 후 준비된 상태에서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성장·회수 단계의 목표는 경쟁력이 우수한 벤처를 육성하는 것이다. 기술성이 우수한 중소기업에 연구·개발(R&D) 자금 등 9500억원을, 가젤형 기업(고용 인원이 3년 연속 20% 이상 성장하는 기업)에 1조1900억원을 지원한다. 해외 유명 기업과의 인수·합병(M&A)이나 나스닥 등의 선진시장 상장을 목표로 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한국형 요즈마 펀드’가 2000억원 규모(정부 지분 40%)로 신설된다. 정부는 내년에 재정 600억원을 우선 투입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이제는 제대로 된 벤처를 육성해 국제무대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과거 벤처가 묻지마식 투자였다면 앞으로는 준비된 창업이 될 수 있도록 기술·사업성 평가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창업 기회를 늘리는 대책도 포함됐다. 정부는 재창업 시 사업성 평가를 통과한 벤처기업에 총 7730억원을 투입해 상환금을 채무조정하고 재창업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세종=백상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