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야권단일 후보 힘 받을까
입력 2014-02-26 02:04
민주당 내에서 6·4지방선거 승리 공식으로 무소속 야권단일 후보론이 연일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 부산 등 접전 중인 지역에서 무소속으로 ‘제3지대’를 만들어 야권의 힘을 모으자는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 사례를 벤치마킹하자는 취지지만 정당정치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민주당 정동영 상임고문은 25일 CBS라디오에 나와 “새정치연합이든 민주당이든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일단 (입당)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박 시장 때 모델도 있는 것이고, 어쨌든 단일화해서 야권후보를 하나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한 중진의원도 “김 교육감과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각각 무소속 단일 후보로 경기도지사와 부산시장 후보로 나오면 전국적인 바람이 불 것”이라며 “지도부가 결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부산시장 지지율 선두권에 있는 오 전 장관 스스로도 ‘통 큰 연대’를 강조하며 무소속 야권 후보론에 힘을 싣고 있다.
무소속 야권단일 후보론의 논리는 간단하다. 지지율이 낮은 야당 간판으로는 당선이 어려우니 무소속이라는 외피를 두르고 야권의 모든 세력을 규합하자는 것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 지지율은 40%를 넘고 있는 반면,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10∼20%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성공사례도 있다. 2010년 경남도지사 선거에서 김두관 후보는 무소속으로 나와 53.50%를 득표했다. 박 시장도 2011년 재·보궐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로 나왔다.
그러나 정당의 책임정치를 비켜가려는 선거공학이라는 비판이 곧바로 제기된다.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윤성이 교수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기성정당은 인기가 없으니까 선거에 승리하기 위해서 택하는 무소속 후보는 정치 공학”이라며 “심판을 받을 때는 어느 정당 소속도 아니었다가 특별한 이유 없이 이후에 입당하는 것은 유권자를 기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박 시장과 김 전 지사 모두 선거가 끝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민주당에 입당했다. 당시에도 두 사람은 입당의 불가피성에 대해 이렇다할 설명을 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새 정당을 만들기로 한 안 의원 측도 일단은 거부감이 크다. 낡은 양당 정치를 바꾸겠다고 나선 마당에 기존 야당과 힘을 합치는 것은 ‘새 정치’라는 구호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민주당 내에서 이미 출마를 선언한 후보들의 반발도 불가피하다.
이미 ‘약발’이 통하지 않는 방식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2012년 경남도지사 보궐선거 당시 권영길 후보가 무소속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섰지만 새누리당 홍준표 후보에게 20% 포인트 이상 격차로 낙선했다.
명지대 신율 교수는 “평소에 뒤처진 정당 지지율을 올리려고 노력하는 것이 정당정치의 기본”이라며 “무소속 후보론은 ‘정당포기’이고 스스로 불임정당임을 선언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