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판 새마을운동] 남북 농·축산 분야 협력사업 ‘컨트롤 타워’ 추진협의회 만든다

입력 2014-02-25 08:15 수정 2014-02-25 15:47

농림축산 분야의 남북협력사업을 총괄하는 ‘남북농업협력추진협의회(협의회)’가 만들어진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4일 경기도 시흥 복합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남북관계가 개선되는 대로 남북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협의회는 농식품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고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 산림청, 농촌경제연구원, 농어촌공사, 한국농수산식품공사, 농협중앙회 등이 참여하는 실무기구를 추진단으로 구성한다. 협의회 구성은 과거 남북협력사업이 남북 화해 무드에 편승해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가 제각각 사업을 추진한 결과 사업이 중복되거나 중도 좌초한 사례가 많았던 데 따른 것이다. 향후 농업분야 협력사업이 재개되더라도 과거와 달리 체계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농식품부가 중심이 되는 ‘컨트롤 타워’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관련 예산은 남북협력기금에서 충당하게 된다.

오경태 농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과거 남북협력사업은 정부와 지자체, 민간단체가 각자 시행해 체계적이지 못했다”며 “체계적인 협력사업 시행을 위해 농식품부 장관을 중심으로 협의회를 만들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우선 북한주민의 호응도가 높은 온실·농축산 자재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공동영농 시범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한 뒤 북한의 황폐한 산림 복원을 위한 시범 조림·산림 병해충 방제사업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과거 협력 경험이 있는 사업부터 재개를 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지자체들은 농기자재 지원, 벼농사 협력사업, 연어 치어 공동방류, 금강산 산림 병충해 방제약품 지원, 농기계 수리공장 지원, 비닐온실지원사업 등을 추진한 바 있다. 또 세계식량기구(FAO) 등 국제기구는 물론 비정부기구(NGO)와도 농축산분야 남북협력 사업을 논의할 계획이다. 과거 정부가 직접 한 적이 있는 식량·비료지원 사업은 일단 검토 대상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차원의 식량지원은 1995년 국산 쌀 15만t 무상 지원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총 9차례 이뤄졌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