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판 새마을운동’ 적극 지원한다… 정부, 농·축산업 교류 중점 추진

입력 2014-02-25 08:14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 이후 농·축산업 분야에 중점을 두고 남북 교류를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농·축산업 지원·교류와 맞물려 북한 농촌 개량사업 등 ‘북한판 새마을운동’을 적극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북한판 새마을운동은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넘어서 대북지원의 패러다임이 기존의 식량·비료 등 현물 직접 지원에서 기술과 의식개혁 보급으로 바뀐다는 의미가 있다.

정부는 농·축산업 분야 교류 활성화가 북한 농촌에 대한 지원 사업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한 실질적인 방법이 북한판 새마을운동이라는 판단이다. 정부 당국자는 24일 “남북 간 농·축산업 교류가 계속되면 1970년대 우리의 새마을운동처럼 북한 농촌 지역에서 신작로 건설, 현대식 주택 개조 등 농촌 개량사업을 할 수 있도록 우리가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판 새마을운동을 하게 되면 농촌 개량사업뿐 아니라 자연적으로 북한 농촌 주민을 위한 의료 지원 사업 등 부가적인 남북 교류·협력도 이뤄진다는 장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북한판 새마을운동 지원을 위해 우선 남북 간 농·축산업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농·축산업 분야에서 교류가 이뤄지면 자연스럽게 북한 농촌의 실태를 파악하고, 농민들과의 접촉도 활발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피부에 와 닿는 북한판 새마을운동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이산가족 상봉으로 물꼬가 트인 남북관계에도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본격 가동시킨다는 구상이다.

통일부도 지난 6일 업무보고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 대박’ 실현을 위해 올해부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본격 가동하고 북한 주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농·축산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우선 올해 중으로 국제기구 및 해외 비정부기구(NGO) 등과 협력해 종자·농기구 등 온실·농축산 자재 지원을 시작, 북한판 새마을운동 기반조성을 위한 공동영농 시범사업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관계 개선의 첫 단추로 규정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잘 진행되고 있다”면서 “향후 남북 간 농·축산업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면서 자연스럽게 북한판 새마을운동도 가시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