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 대통령, 통합의 리더십 발휘하길

입력 2014-02-25 01:51

야당 및 국민과의 불통 지속되면 국정운영 힘들어질 것

박근혜정부 출범 1년을 맞아 각종 평가들이 쏟아지고 있다. 대선 1주년 때 지적된 것처럼 이번에도 박근혜정부의 외교·안보분야 성적표는 괜찮은 편이나 국내 정치는 미흡했다는 의견이 압도적이다. 미국 중국 일본 북한과의 관계는 비교적 잘 관리했지만 국내에서의 소통은 등한시했다는 것이다. ‘불통·불신·불안 3불(不)의 박근혜정부 1년’이라는 민주당의 혹평은 차치하더라도 새누리당에서조차 “불통, 만기친람형 리더십 등의 지적은 개선되기를 바란다”는 얘기가 공개석상에서 나왔다. 정치학자를 비롯한 전문가들 견해도 이와 거의 같다.

박 대통령은 대선 직후부터 소통부재라는 비판을 귀가 따갑게 들어 왔다. 그러나 아직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박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로 여전히 ‘불통의 불식’이 꼽히는 게 현실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잇단 잡음을 일으킨 인사(人事)의 폐쇄성과 야당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 한 점 등 박 대통령 특유의 리더십에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박 대통령 개인 이미지는 물론 국정 운영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무엇보다 야당과 허심탄회하게 대화하고 설득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국정의 한 축인 야당의 협조를 얻어내기는커녕 걸핏하면 청와대와 야당이 강 대 강 구도로 대립하는 데에 대통령의 책임이 작지 않다는 얘기다.

지난 1년간 박 대통령이 최고 지도자로서 열심히 노력한 점은 인정된다. 하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눈에 띄지 않는 점 또한 부정할 수 없다. 혼자만 열심히 하려는 박 대통령 리더십의 한계라고 해석해도 무방할 듯하다. 안정성과 신뢰성은 호평할 만한 대목이나 자기중심적이고 팀워크로 일하지 못하는 것으로 비쳐지고 있는 점은 개선돼야 한다.

박 대통령은 올해 초 신년인사회에서 집권 10개월을 회고하면서 “국정운영은 2인3각, 3인4각 경주와 같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말한 바 있다. 방점은 입법부와 사법부의 분발을 촉구하는 데 있다. 하지만 뒤집어 보면 국정의 최고 책임자인 박 대통령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했다는 말이기도 하다. 박 대통령이 국정철학 이행에 입법부와 사법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내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 앞에는 4년의 임기가 남아 있다. 과제도 많다. 경제도 살려야 하고, 일자리도 만들어야 하고, 공공기관도 개혁해야 하고, 남북통일시대에도 대비해야 하고, 맞춤형 복지정책도 실현해야 한다. 대통령 혼자 힘만으로 이를 달성하겠다는 건 무리다. ‘내가 옳으니까 믿고 따라오라’는 식의 일방적인 리더십도 곤란하다. 국민들이 대통령 권위에 무조건 복종하거나, 지나치게 의욕적인 지도자에게 감동하는 시대는 지났다. 박 대통령은 정치권 특히 야당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야당이 무리한 요구를 한다고 해서 감정적으로 대응해선 안 된다. 여유와 인내심을 갖고 최대한 경청하면서 간극을 좁혀 가야 한다. 그런 과정을 거쳐 파열음을 줄여야 국정과제 이행이 수월해질 수 있다.

일반 국민들과도 활발하게 접촉해야 한다. 지난 대선 때 박 대통령을 지지한 51%의 국민은 물론 지지하지 않았던 48%의 국민들과도 자주 만나야 한다. 자칫 특정 집단의 대통령이라는 인상을 줄 경우 사회갈등이 심화되면서 각종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소통은 국민통합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국민통합은 박 대통령이 바라는 국민행복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원동력이다.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박 대통령이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