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올해 여성안전아파트 등 ‘여성 안전마을’ 18곳 운영
입력 2014-02-23 15:15
[쿠키 사회] 서울시가 올해 여성안전아파트 등 시내 18개 지역에서 ‘여성폭력 없는 안전마을(이하 여성 안전마을)’을 운영키로 했다. 성폭행 등 여성폭력에 대해 주민, 시민단체, 경찰, 구청 등이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파수꾼이 돼 안전한 마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시는 지난해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14개 지역에서 시범운영한 여성 안전마을을 올해 18곳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사업 분야는 마을 안전망 구축, 여성안전 아파트 운영, 여성안심 귀갓길·골목길 조성, 마을지킴이 양성, 주민 순찰대 운영 등이다. 시는 범죄예방디자인(CEPTED) 등을 적용한 안전 환경 조성은 물론 눈에 잘 띄지 않는 가정폭력 등을 예방, 신고,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시는 올해 여성안전아파트를 처음 도입했다. 시 관계자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성폭행 등이 아파트 옥상, 계단에서 일어나는 점에 착안해 노후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취약지역을 모니터링하는 한편 순찰 등을 통해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또 성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빈집 등 취약지역이나 좁고 낙후된 골목길 등을 모니터링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여성안심 귀갓길·골목길 사업도 추진된다.
시는 지난해 ‘안심이할머니 운영’ 등 골목지킴이 활동(금천·서대문구), 주민 순찰활동(마포·동작구), ‘여성안전지도 앱’ 제작 등 여성 안전망 구축(강북·구로·중랑구), ‘가정폭력 제로스쿨’ 등 가정폭력 없는 마을(은평·중구) 등을 운영해 호응을 얻었다.
시는 올해 여성 안전마을 18곳을 담당하는 단체에 대해 1곳당 1000만원 이내를 지원할 예정이다. 여성폭력 관련단체, 성·가정폭력 상담소 등 여성 안전마을 사업 운영을 희망하는 단체(마을 주민 5인 포함)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3월 14일까지 각 구청을 통해 접수를 받는다.
조현옥 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많은 시민들이 여성폭력을 인지하고 여성들도 주체적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여성 안전마을 조성에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