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재건축 “불어라 봄바람”… 타지역까지 확산될 듯, 잇단 규제 완화 우려도

입력 2014-02-22 02:32 수정 2014-02-22 15:57
부동산 시장이 서울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들썩이고 있다. 올해 들어 서울 강남권 일부 재건축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 데다 정부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폐지 등 관련 규제를 대거 풀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114는 21일 기준 서울 재건축 아파트 평균 가격이 지난주에 비해 0.43% 올랐다고 밝혔다. 전주(0.50%)에 비해 상승폭이 다소 둔화되긴 했지만 재건축 아파트 평균 가격은 지난달 10일 0.14% 오른 데 이어 꾸준히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말과 비교할 때 이날까지 서울 재건축 아파트 누적 상승률도 1.79%로 나타났다.

일선 중개업소에서는 호가가 오르면서 매도인이 매물을 회수하는 경우도 잦아지고 있다. 서울 강남구 개포 주공4단지 인근 K공인중개소 관계자는 “42㎡의 경우 지난해 말에 비해 호가가 최고 6000만~7000만원 정도까지 올랐다”며 “집주인들이 가격이 더 오를 것을 기대하고 매물을 거둬가고 있다”고 말했다. 주공1단지 인근 S공인 관계자도 “매도자와 매수자의 가격 차가 워낙 커 양측 모두 관망세로 돌아선 상태로 어제 오늘 이 일대 공인중개사들은 일손을 놓은 상태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강남 재건축 단지의 상승 흐름이 일반 아파트나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전셋값 급등으로 ‘깡통 전세’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공유형 모기지 확대 등 정부의 매매 유도 정책으로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정부가 폭발력이 있는 재건축 단지에 대한 규제를 풀어 일반 아파트나 타지역으로 시장 활성화 분위기 확산을 의도하고 있는데, 심리적인 파급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시장 활성화를 확신하긴 이르다는 분석도 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재건축 아파트는 공급의 희소성, 계속되는 규제 완화 등으로 투자 수요가 몰리고 있지만 일반 아파트나 다른 지역의 경우 중소형, 급매물, 경매 물건 등 수요자들이 찾는 매물이 제한적이어서 파급 효과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잇따르는 규제 완화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변창흠 세종대 행정학과 교수는 “각종 정부 정책이 매매를 유도하고 있지만 그 결과는 가계 부채 확대로 이어진다”며 “부동산 가격 불안 등 불확실성이 증대되면 상당히 위험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