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 현상”-“가능성 있다”… 정부-민간硏 ‘디플레 전망’ 충돌
입력 2014-02-18 01:32
정부와 중앙은행의 낙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에 대한 경고가 민간 경제연구소를 중심으로 잇따르고 있다.
한국은행 조사국 김명현 과장은 17일 ‘주요국 인플레이션 비교분석’ 보고서를 통해 “물가상승률이 당분간 국제원자재 가격의 하향 안정 등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겠지만 세계 경기가 회복하는 과정에서 점차 (물가는)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한국의 저물가 상황이 디플레이션 국면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시장 시각은 다르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로 연간 기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개월 연속 한은 중기 물가안정 목표(2.5∼3.5%)를 크게 밑돈 상황을 심상치 않게 바라보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저물가 지속 배경’ 보고서에서 “올해 상승률도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이정훈 선임연구원도 “물가안정 목표 및 기대보다 낮은 물가 수준이 지속될 경우 디플레이션 상황과 유사한 문제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출구전략 시행에 따라 신흥국 금융 불안이 계속될 경우 글로벌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원자재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원·달러 환율도 지난해 연평균 1095원보다 낮아질 것으로 보여 물가하락 압력은 더 강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가계부채·고령화 등 구조적 문제까지 겹칠 경우 민간소비와 투자 증가율이 위축에 따른 잠재성장률 저하로 장기 경기침체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이례적으로 디플레이션 우려를 표명했다”며 “디플레이션 상황에 빠지면 악순환의 고리를 벗어나기 쉽지 않음을 고려해 중앙은행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