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정치연합, 역량 있는 인물 충원했으면
입력 2014-02-18 01:36
새정치연합 창당 발기인대회가 17일 열림으로써 ‘안철수 신당’이 법적 단체로 첫걸음을 내디뎠다. 안 의원은 창당준비위원회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운영위원장으로 선임됐다. 공식 창당은 내달 말 이뤄진다. 오는 6·4지방선거를 넘어 안 의원의 2017년 대권 도전을 위한 발판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 셈이다.
새정치연합은 우리 사회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정치 불신을 등에 업고 태동된 만큼 발기취지문의 주요 내용 역시 ‘새정치’라는 지향점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데 할애됐다. ‘기존 정치권이 정체와 퇴영의 늪에 빠졌다’고 규정한 뒤 합리적 보수와 성찰적 진보의 가치를 받아들이는 통합정당이 되겠다고 다짐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정의와 공공성을 핵심으로 하는 참다운 민주정치 정착, 파당이 아니라 국민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정치, 분열의 정치가 아닌 국민통합의 정치를 통해 한국정치의 틀을 새롭게 바꾸겠다고 약속했다. 청렴의 의무 준수와 지역주의 조장 언행 금지 등 ‘새정치인의 약속’ 7가지도 발표했다. 그동안 ‘새정치’ 개념이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은 탓인지 세밀하게 다듬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엿보인다. 그러나 기존 정당과의 차별성을 각인시키기에는 아직 부족하다.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작업에 더 매진해야 한다.
347명의 발기인 면면을 보면 보수와 진보를 아우르고, 일반시민까지 포함시킨 점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금배지를 반납한 전직 정치인들을 발기인 명단에 올린 것은 실망스럽다. 지방선거에 대비해 지방 조직을 다잡으려는 의도로 보이지만 새정치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이들도 보인다. 전직 정치인 영입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삭줍기’라는 비판을 받기 십상이다. 민주당과 ‘사람 빼가기’ 신경전을 벌이는 것도 자제해야 한다.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은 정체 혹은 하락 추세다. 그 원인 중 하나가 인물난이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새정치와 맞아떨어지는 참신하고 역량 있는 인물을 조속히 영입해 국민들 앞에 내놓아야 한다. 안 의원 혼자서는 새정치를 구현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