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대 일정 파열음… “연기해야” 밀어붙이는 친박

입력 2014-02-14 01:31


새누리당 친박(親朴·친박근혜)계가 서청원 의원을 구심점으로 견고하게 결집하고 있다. 친박계는 서 의원의 당권 도전 일정을 감안한 전당대회 시점 조정부터 지방선거 후보 차출 문제까지 계파의 이해관계를 관철하기 위해 똘똘 뭉쳐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서울시장 등 주요 지방선거 후보와 차기 당 대표, 원내대표 등에 박심(朴心·박 대통령의 의중)에 의한 낙점 의도가 있다는 논란이 제기되면서 반작용 차원에서 결집이 오히려 단단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대 시점 놓고 주류·비주류 갈등 확산=13일 의원총회에서는 전대 시점 연기를 중심으로 결집한 친박계와 반발하는 비주류 의원 간 격론이 벌어졌다. 친박 주류가 6·4지방선거 이후인 6월 말∼7월 초로 연기를 주장한 반면 비주류는 황우여 대표의 임기가 종료되는 5월 15일 전후, 혹은 3∼4월 전대 실시를 요구했다.

홍문종 사무총장은 “지방선거 전 전대의 경우 선거와 당내 경선이 겹쳐 관심이 분산될 수 있고, 경선 과정에서 당내 갈등이 부각될 경우 선거에 악영향이 있을 수 있다”며 연기 불가피론을 폈다. 그러자 비주류인 김성태·김용태·김영우 의원 등은 연기 불가론으로 맞섰다. 김용태 의원은 의총 직후 “(연기의) 논리가 지방선거 끝나고 (패배의) 책임 때문에 지도부가 갈리면 어떻게 하느냐는 것인데, 지방선거에서 지려고 작정한 하나마나한 소리”라며 꼬집었다.

결론을 내지 못해 오는 17일 재논의 요구가 나왔지만 당 지도부는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하며 조만간 연기 방침을 밀어붙일 태세다. 한 친박 의원은 “대들고 싶으면 추워도 얼어 죽지 않을 꽃샘추위 때나 해야지 지금은 엄동설한”이라며 비주류의 주장을 일축했다.

◇‘8월 전대’에서 ‘6월 말 전대’로 계획 수정한 친박=전대 연기론은 의총에서 공식화됐지만 사전에 모의되고 정리된 입장이 표출된 것이다. 새누리당 고위 당직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 9일 열렸던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논의 내용을 소개했다. 유기준·정우택 최고위원이 6월 말 전대 카드를 새롭게 제기했다는 것이다. 그간 당 지도부는 ‘5월 원내대표 경선 및 비대위 선출→6월 지방선거→7월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8월 전당대회’의 정치일정을 밑그림으로 그렸다가 갑자기 6월 말 전대 실시로 방향을 튼 셈이다. 결국 ‘6월 초 지방선거 결과를 놓고 지역 순회를 거쳐 6월 말∼7월 초 전대를 열자’는 친박계의 요구대로 정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청원 당 대표, 재보선 공천권 염두에 둔 일정”=당 일각에서는 6월 전대가 지도부의 8월 전대 주장과 비주류의 조기 전대 요구를 절충한 방안이라는 해석도 있지만 친박계가 적극적으로 6월 말 전대를 바라고 있다는 분석이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경기도에 지역구를 둔 서 의원이 지방선거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아 새누리당이 수도권에서 승리하면 그 공로로 당권 접수에 유리한 구도를 만들고, 약세인 원외 당협위원장 등 당 조직을 친박 중심으로 재편할 시간도 번다는 전략”이라고 해석했다. 아울러 5월부터 원내대표가 겸직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대위원장의 임시당권 기간을 줄여 7월 재보선에서 공천을 친박계 주도로 하겠다는 의도가 포함돼 있다는 관측이다.

서 의원과 당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김무성 의원은 “의총에서 시종일관 지도부가 발언을 장악했다”며 전대 시점의 논의 형식에는 불만을 피력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