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2월 14일 2차 접촉-1차 접촉 뒷얘기] ‘최고존엄’ 언론 보도 문제 등 격론
입력 2014-02-14 02:31
남북은 12일 열린 1차 고위급 접촉에서 13시간30분 가까이 마라톤 회의를 가졌지만 어느 것도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는 13일 양측 모두 새 정부가 들어선 이후 만나는 첫 고위급 만남인 만큼 초반에는 탐색전에 주력했다고 전했다. 우리 측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기본 취지를 북측에 설명하면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차질 없는 개최가 남북관계 개선의 첫 단추임을 강조했다. 또 비핵화 결단도 함께 촉구했다.
북측은 지난달 16일 국방위원회가 발표한 중대제안을 남측이 수용할 것을 요구했다. 또 원칙적인 입장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해선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중지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북측은 또 자신들의 소위 ‘최고 존엄’과 ‘체제’에 대한 우리 언론의 보도를 문제 삼으면서 우리 정부에 대해 “언론을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 측은 “언론에 대한 정부의 통제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남북은 또 서해 5도 지역에서의 군사적 대치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1차 전체회의를 마친 후 남측에선 공동선언문 채택이 가능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우리 측이 합의를 보려 했던 공동보도문은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원만한 진행과 포괄적인 남북 현안에 대한 대화 재개 등이 주 내용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오후부터 상황이 반전됐다. 북한은 2차 전체회의에서 이달 24일 시작될 키 리졸브 연습을 20∼25일로 예정된 이산가족 상봉 행사 뒤로 미루라는 주장을 갑자기 들고 나왔다. 이에 우리 측은 “이산가족 상봉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연계하는 것은 순수한 인도주의적 문제와 군사적 사안을 연계시켜서는 안 된다는 원칙에 위배되는 것으로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맞섰고 북측의 훈련 연기 요구를 일축했다.
남북은 오후 9시45분 수석대표 2차 접촉이 끝날 때까지 현안에 대한 입장 차이를 좀처럼 좁히지 못했다. 남북은 결국 오후 11시35분 연락관을 통해 접촉 종료에 합의했고, 자정을 10분 넘긴 시각에 북측 대표단은 판문점을 떠났다.
모규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