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업무보고] 2015학년도 수능 영어, 2014학년도 B형보다 쉽게 출제한다
입력 2014-02-14 02:32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선 영어가 비교적 쉽게 출제된다. 교육부는 13일 경기도 안산의 서울예술대학에서 수능 영어의 출제 범위를 축소하고 고난도 문제를 줄이는 내용의 2014년 업무추진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지난해 쉬운 A형과 어려운 B형으로 나눠 출제됐던 영어는 올해 어려운 B형보다 평이하게 출제될 것으로 보인다. 수준별 수능이 폐지됨에 따라 출제 범위가 영어 Ⅰ·Ⅱ로 단순해져 출제 난도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정답률이 34%에 불과해 가장 까다로운 문제로 꼽혔던 ‘빈칸 추론 채우기’ 문항 수도 7개(영어 B형 기준)에서 4개로 줄어든다.
교육부는 또 올해 대입부터 학교생활기록부 전형에서 공인어학성적이나 수상실적 등 외부 ‘스펙’을 자기소개서에 기재할 경우 서류전형 점수를 0점 처리하도록 했다. 여태까지는 각 대학에 권고하는 수준이었으나 2015학년도 입시부터는 이를 제도화기로 한 것이다. 다만 예·체능은 의견 수렴을 거쳐 예외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교육부의 2104년 업무보고는 공교육 정상화와 현장 중심 직업교육체제 구축에 초점이 맞춰졌다. 박 대통령은 “공교육을 정상화하고 사교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선행학습과 선행 출제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교과서 발행체계와 관련, 국정 전환을 포함해 다각적인 체제 개선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공교육 정상화 촉진 특별법’ 제정을 통해 학교 시험과 입시에서 교육과정 밖의 내용이 출제되지 못하도록 하고, 사교육업체의 허위·과장 선행학습 광고를 규제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의 대표적 공약인 자유학기제도 전체 중학교의 20%(600개교)로 확대한다. 고3 수능과 중3 기말고사 이후 학년말 취약시기(12∼2월)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꿈·끼 탐색기간’을 통해 학교활동을 정상화할 방침이다.
또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NCS 학습모듈을 개발하고 직업교육과정을 NCS 중심으로 개편키로 했다. 고용시장의 미스매치(기업과 취업희망자의 ‘눈높이’가 다른 상황)를 해소하기 위해 학교에서부터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육에 중점을 두겠다는 의미다.
요리, 소프트웨어 개발, 디자인, 자동차 정비 등 청소년이 관심 있는 10대 분야를 선정해 ‘국가역량체계’(NQF)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학력에 상응하는 직무능력 인정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를 구축하는 한편 특성화·마이스터고의 직업교육은 일자리 중심으로 개편키로 했다.
세종=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