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저축률 15.4%로 껑충 경기위축 우려 커진다
입력 2014-02-12 02:34
국내 제조업체의 저축률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률 증가는 기업의 투자 유보와 맞닿아 있어 우리나라 경제 내수 기반 약화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비금융 기업의 총저축률(기업의 총저축액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눔)은 1975년 7.4%에서 2011년 15.4%로 껑충 뛰었다.
기업 총저축률은 80년대 3저(달러·유가·국제금리) 호황이 한창인 88년 13.2%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외환위기 당시인 98년엔 6.4%까지 낮아졌다. 이후 2000년 들어 글로벌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저축률은 2010년 16.3%까지 치솟았다.
기업들이 돈을 쌓아두는 이유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경기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아 투자를 꺼리기 때문이다. 물론 기업저축 증가세가 한국에서만 나타나는 고유한 현상은 아니나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봤을 때도 저축률 증가 속도는 빠른 편이다.
기획재정부가 ‘국가경쟁력 통계’를 통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25개의 기업 총저축률을 비교한 결과 2011년 한국은 4위를 차지했다. 2000년보다 여덟 계단이나 상승했다. 10위권 안팎이던 한국 기업의 총저축률 순위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엔 2위로 뛰어오르기도 했다.
기업저축은 경제여건이 악화돼 외부에서 자금조달이 어려워져도 기업이 투자나 영업을 지속할 수 있는 완충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총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가계소득의 비중을 감소시켜 소비 부진을 초래할 뿐 아니라 늘어난 기업저축이 해외에 투자될 경우 국내 경제 내수 기반이 지속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우리나라 기업저축의 특징 및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자본재가격 하락 지속에 따른 명목 투자율 하락, 해외투자 증가, 영업환경의 불확실성 등이 앞으로 기업저축을 높게 유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보고서는 기업 저축이 내수 부진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기업이 축적된 내부자금을 투자와 고용에 사용해 가계부문으로 소득이 흘러갈 수 있도록 정책당국이 거시경제 안정 및 정책불확실성 해소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