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0억대 사기대출 인감도장 진위여부 새국면… 은행권 “진짜 인감”-KT ENS “위조 가능성

입력 2014-02-11 02:33

KT 자회사인 KT ENS 직원과 협력업체들이 공모한 3000억원대 사기대출 사건 책임 소재를 놓고 은행권과 KT ENS 간 공방이 벌어지는 가운데 법인 인감도장의 진위 여부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국민·농협은행이 내부 점검을 한 결과 KT ENS 직원 김모씨가 은행에 제출한 법인 인감이 위조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인감 발급번호를 넣어보니 등기소에서 발급된 것이 맞았다”며 “은행에 제출된 게 KT ENS 법인 인감으로 확인된 만큼 책임은 인감 관리를 잘못한 KT ENS에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KT ENS는 법인 인감도장이 진짜가 아니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KT ENS 관계자는 “지난해 8월 1일자로 사명을 KT네트웍스에서 KT ENS로 바꿔 법인 인감 및 사용 인감이 변경됐다”며 “일부 금융사가 보유한 채권양도승낙서를 보면 사명은 KT ENS인데 인감은 KT네트웍스로 돼 있어 위조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대출건과 관련해 은행연합회에 KT ENS의 지급보증 사실이 등재돼 있지 않아 지급보증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수년간 수천억원대 대출이 이뤄졌고, 김씨가 KT ENS의 자금담당자도 아니라는 측면에서 은행의 관리 소홀 문제는 여전히 은행 측 귀책사유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이 회사 자금부서에 연락해 교차확인을 했더라면 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또 장기간 거액 대출이 이뤄진 점에 대해 은행 내부인사의 공모 여부도 주시되는 부분이다.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해당 은행과 저축은행에 대한 검사에 나섰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