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라운지-배병우] 혼다의원 당락, 美 정계 관심 집중

입력 2014-02-10 01:32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로 불붙은 외교전의 최전방은 미국이다. 한국과 일본, 여기에 중국까지 가세해 과거사 문제에 대한 자국 입장의 정당성을 최강대국 미국으로부터 ‘공인’받으려 한다.

주미 한국 대사관을 포함해 우리 정부에게 든든한 원군이 있다. 마이크 혼다(73·민주) 연방 하원의원이다. 실리콘밸리와 서부 산호세를 아우르는 캘리포니아 17선거구가 지역구다.

그는 2007년 미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통과를 주도한 데 이어 최근 통과한 2014년 세출법에 위안부 결의 이행을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되는 데도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일본계 3세라는 점에서 상징성은 더욱 크다.

7선으로 순항이 예상되던 혼다 의원에게 비상등이 켜졌다.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그에게 같은 당 소속의 특허법 변호사 로 칸나(37)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선출직 공직 경험이 없는 애송이라고 낮춰볼 게 아니다. 칸나는 이미 약 200만 달러의 선거자금을 모았다. 혼다 의원은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62만 달러 정도다.

혼다 의원의 ‘위기’와 관련, 교민사회에서는 일본계나 일본 정부의 암묵적인 지원이 있지 않은지 의혹의 눈초리를 보낸다. 일본계 미국인이나 일본과 비즈니스를 하는 개인들이 선거자금을 몰아주고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칸나 변호사의 선거자금 기부자 내역을 분석한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다른 그림이 나타난다. 칸나 변호사의 주요 돈줄은 실리콘밸리 정보기술(IT)업체의 경영진이다. 에릭 슈미츠 구글 회장, 셰릴 샌드버그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COO), 마리사 메이어 야후 최고경영자(CEO) 등이 기부자의 일원이다. 실리콘밸리는 지금까지 정치와 거리를 뒀지만 칸나 변호사 같은 이를 통해 업계의 이익을 정책과 법안에 반영시키려 한다. 혼다 의원은 선거에 돈이 중요하지만 모든 것은 아니다며 IT업계 뿐 아니라 소수민족, 빈곤층 등 모든 지역민의 이해를 대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일본에 대한 양심적인 비판자의 생존 여부는 물론 ‘IT업계의 돈바람’ 대 ‘풀뿌리 정치력’의 대결이라는 점에서도 혼다 의원은 미국 중간선거의 최대 관심 인물로 부상하고 있다.

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