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安 ‘특검 연대’ 색깔 다른 고민
입력 2014-02-10 03:32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에 대한 특검 문제가 6·4지방선거에 앞서 주요 이슈로 재부상할 조짐을 보이면서 야권이 또다시 연대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민주당은 국회 일정 보이콧 가능성까지 열어놓으면서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의 협력을 원하지만 친노계 반발과 국민여론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안 의원 측도 정책 연대론이 자칫 선거 단일화로 비쳐질까 우려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9일 “지금 당이 할 수 있는 건 정부·여당에 특검 수용을 압박하는 것밖에 없다”며 “유일한 방안인 안 의원과의 공동 대응마저 일부 세력이 반기질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김한길 대표와 안 의원은 지난달 24일 만나 특검 도입 공조를 약속했다. 그러나 친노 등 비당권파에서 제1야당이 사사건건 경쟁자인 안 의원에게 목매는 듯한 모습을 곱지 않게 본다는 얘기다.
일단 지도부는 자체 전략 짜기에 골몰하는 분위기다. 김 대표는 2박3일간 강원·영남 민심투어에서 돌아온 직후 비공개 최고위원회를 열고 특검 관철을 위한 투쟁안을 논의했다. 국정원개혁특위 야당 간사인 문병호 의원은 간담회에서 “여야가 지난해 12월 ‘추후 특검의 시기와 방법을 논의하자’고 합의한 대로 새누리당은 회담에 임하라”며 “지키지 않으면 2월 국회 의사일정과 관련된 강력한 문제 제기를 하겠다”고 국회 보이콧을 시사했다. 그러나 국정원 개혁법안, 검찰개혁법 등 현안이 산적해 있어 이런 연계안이 득이 될지는 미지수다. 박광온 대변인은 “지도부 논의에서 장외집회나 국회 전면 보이콧은 없었지만 일각에서 대정부질문을 통한 이슈화나 대법관 인사청문회 거부 등이 거론됐다”며 “10일 의원총회에서 의견을 더 청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안 의원 측은 선거를 앞두고 연대해야 하는 상황을 언짢아하고 있다. 한 핵심 관계자는 “민주당이 어떤 방식 등을 놓고 연대 움직임을 보일지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의원 측은 10일 민주당, 정의당 등과 특검법을 공동발의했던 연석회의에 참석하지만 향후 공동대응 여부는 재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안 의원은 11일 발표할 계획인 새정치 플랜을 놓고도 고심이 깊다. 민주당이 선제적으로 지난 3일 국회의원 특권방지법 등이 담긴 혁신안을 공개해 차별성을 부각시킬 수 없다면 부정적 평가를 받을 게 뻔하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민현주 대변인은 “틈만 나면 지방선거에서 연대를 도모하려는 민주당이 특검을 핑계로 안철수 신당 비위 맞추기에 나서고 있다”면서 “기다렸다는 듯 안 의원이 화답하면 결국 야권연대를 위한 공약수 만들기 작전”이라고 꼬집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