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통상적 중산층 기준은]월 소득 500만원 이상·30평 아파트…소득에 초점
입력 2014-02-10 03:31 수정 2014-02-10 07:01
우리나라 사람들은 통상적으로 월평균 500만원 이상 소득, 부채 없는 30평대 아파트, 2000㏄급 이상 중형차를 가진 경우를 중산층이라고 여긴다. 여기에 억대 현금과 매년 1∼2차례 해외여행을 다닐 수 있는 여유가 있으면 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현대경제연구원 등의 최근 조사에서도 기준이나 결과는 비슷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012년 7∼8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4인 가족 기준으로 월 가구소득이 494만6000원을 넘어야 중산층이라는 답변이 나왔다.
이 연구원이 1998년 조사했을 때는 중산층 월평균 소득이 248만5900원이었다. 약 14년 만에 중산층 소득 기준은 배가 뛴 것이다. 국민일보와 글로벌리서치의 지난해 8월 여론조사에서도 연소득 6231만원은 돼야 중산층으로 볼 수 있다는 응답이 나왔다. 역시 월평균 약 500만원이다. 이 조사에서 7000만원 초과라고 생각하는 국민도 19.4%나 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해 8월 발간한 ‘OECD 기준 중산층과 체감 중산층의 괴리’ 보고서도 흥미롭다. 이 조사에서 중산층의 자산규모는 7억8000만원으로 나타났다. 7억8000만원은 서울 시내에서 30평대 아파트를 빚 없이 소유하고, 중형차 한 대를 굴리면서 현금 1억원 정도를 들고 있는 수준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수치만으로는 중산층을 정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적자 가구이거나 체감물가가 높을 때, 정규직이냐 비정규직이냐, 노후준비 상태 등에 따라 사람들이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느끼는 정도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정치권에서도 중산층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새누리당과 민주당 모두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정책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통용되는 기준은 딱히 없다. 중산층 개념 자체가 사회·경제적 합의가 필요하고, 여야의 정치적 이해관계도 엇갈리기 때문이다. 다만 새누리당은 지난해 8월 세제개편안 논란 당시 중산층 세부담 기준이 되는 소득 기준을 연 5000만원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고 정부에 요청했었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지난 4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불평등 해소를 당의 중심 정책과제로 삼겠다”며 “세금 내며 자녀를 키우고 저축할 수 있는 ‘위대한 중산층 사회’ 재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5일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국민의 절반이 스스로 나는 하류층이라고 말한다”며 “교육·의료·주택의 3대 생활복지 정책으로 서민·중산층의 부담을 덜어드리겠다”고 강조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