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교육 평가 MB정부 때보다 나빠져
입력 2014-02-10 02:31
박근혜정부 첫해였던 지난해 국민들이 학교 교육에 매긴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2.49점이었다. 이는 2.90점의 ‘보통 이하’ 평가를 받은 MB정부 때(2012년)보다 급락한 수치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전국 19∼75세 성인남녀 2000명을 상대로 벌인 ‘교육여론조사 2013’에서 ‘우리나라 초·중·고교를 전반적으로 평가한다면 어떤 성적을 주겠느냐’는 물음에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학교 교육에 대한 전반적 평가 점수는 2012년 2.90점에서 0.41점이나 떨어졌다.
‘아주 못한다’는 평가가 2012년 5.7%에서 지난해 13.5%로 배 이상으로 늘었고, 별로 못한다는 응답도 24.2%에서 34.4%로 증가했다.
특히 국민 절반 가까이(48.0%)는 ‘학생의 인성·도덕성 약화’를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교육 문제로 꼽았다. 초·중·고 학생들의 인성·도덕성 수준에 대해 72.4%가 ‘매우 낮다’(24.8%) 또는 ‘낮다’(47.6%)고 평가했다. 인성·도덕성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2012년 조사 때의 55.1%에서 17.3% 포인트나 늘었다. 각급 학교에서 지금보다 중시해야 할 교육 내용 1순위로 ‘인성교육’을 꼽은 비율도 초등학교(65.1%), 중학교(58.4%), 고등학교(41.6%) 모두에서 가장 많았다.
인성교육에 대한 국민의 우려는 교육정책 관심도와 동의 수준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다음의 정책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인가’ 또는 ‘다음의 정책에 얼마나 동의하는가’라고 물은 뒤 5점 척도로 점수를 매기게 한 결과 ‘인성교육 중심의 수업 강화’(관심도 3.91점/동의도 4.08점)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어 ‘학교 내부 및 주변의 학교폭력 감지/대응체계 구축’(3.85점/4.00점), ‘특성검사 활용 등을 통한 학교폭력/자살 등 예방체계 확립’(3.77점/3.93점)도 높은 관심과 동의를 받았다.
KEDI 이강주 연구원은 “2011년 대구 중학생 자살사건으로 ‘학교폭력 근절 및 인성교육 강화’ 정책이 시행됐지만 만족도는 2.15점에 불과했다”며 “인성교육과 학교폭력, 자살예방체계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가 높은 것은 MB정부 시절 느꼈던 교육정책에 대한 실망이 새 정부에 대한 기대로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수현 기자 siempre@kmib.co.kr